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경구피임약 복용 중 휴약기에 발생한 증상으로 인하여 불편하고 걱정이 되시는 것 같아요.
경구피임약을 처음 복용하고 있고, 한 통을 다 복용한 후 현재 휴약기 5일차, 생리 4일차에 두통이 나타나고 있다면, 이 두통은 호르몬 변화에 의한 부작용일 가능성이 있어요.
경구피임약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호르몬들은 평소 몸의 호르몬 균형을 변화시켜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요.
휴약기에 접어들게 되면 갑자기 에스트로겐 농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런 변동이 몸에 두통, 메스꺼움, 심한 경우 구역감을 유발할 수 있어요.
특히 눈썹 위, 미간, 관자놀이 부위가 쥐어짜이는 형태로 나타나는 두통은 긴장성 두통이나 생리와 연관된 편두통 혹은 피임약 복용에 따른 호르몬성 두통일 가능성이 있어요.
또한 앉았다 일어나거나 몸을 숙일 때 증상이 더 심해지는 점을 보면, 일시적으로 뇌혈류가 변화하면서 두통이 더 두드러질 수 있어요. 그리고 경미한 명치 쪽 울렁거림 역시 피임약 부작용으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에요.
이와 같은 증상은 피임약을 복용한 이후 처음 1~3개월 간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어요.
몸이 새로운 호르몬 환경에 적응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니,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약해지거나 사라져요. 다만, 두통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하거나, 평소와 전혀 다른 양상(갑작스럽고 강한 두통, 시야장애, 한쪽 몸의 힘 빠짐, 언어장애 등)이 나타난다면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니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우선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진통제를 복용하며 경과를 지켜보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다만, 진통제를 복용해도 두통이 계속되거나 증상이 더 심해진다면 피임약 부작용이 신체에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이 경우에는 산부인과로 방문하셔서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