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국가검진 결과 반응성세포변화, 피임약 영향일까? 인유두종 가능성은?
4일전 자궁경부암 국가검진을 받았는데 작년 11월에 받았을 땐 이상소견 없었는데 이번엔 음성-반응성세포변화가 나왔어요. 크게 간지럽거나 그런건 어없는데.. 제가 다낭성이라 생리불순이 심해 4개월째 피임약 복용중인데 그 영향일까요? 인유두종이나 그런건 아닌거 맞죠..?
4일전 자궁경부암 국가검진을 받았는데 작년 11월에 받았을 땐 이상소견 없었는데 이번엔 음성-반응성세포변화가 나왔어요. 크게 간지럽거나 그런건 어없는데.. 제가 다낭성이라 생리불순이 심해 4개월째 피임약 복용중인데 그 영향일까요? 인유두종이나 그런건 아닌거 맞죠..?
자궁경부암 국가검진에서 '음성-반응성 세포변화'라는 결과가 나왔다면, 이는 자궁경부 세포에 변화가 있으나 병변이나 종양 등은 발견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반응성 세포변화는 다양한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피임약 복용도 그 중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피임약은 호르몬 수준에 영향을 미쳐 자궁경부의 세포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은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반응성 세포변화 결과만으로는 HPV 감염 여부를 확정할 수 없습니다. HPV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HPV DNA 검사가 필요합니다. 현재 증상이 없다고 하시더라도, 검진 결과에 대해 걱정이 되신다면 담당 의사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검사나 추적 관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HPV 검사나 추가적인 자궁경부 세포 검사(colposcopy 등)를 권유받는다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 특히 반응성 세포변화는 추후 악성 종양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꼭 권유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생리 중 피가 비쳐 산부인과에 가서 자궁경부암 검사와 질염 검사를 한 후 유레라풀라스마균이라이 덤출 되었으며, 자궁경부안 결과 반응성 세포 변화로 염승소견이 나와 인유두종 바이러스도 검사하였습니다. 아직 인유두종 바이스러의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다시 관계를 가져 관계 중 피가나 중단 하였습니다. 머리 속이 복잡하고 어려운데 검사 결과는 월요일에서 수요일 사이에 나오는데 내일 검사하러 방문 해야 할까요? 결과를 기다려야 할까요? 관계는 어느정도 하지 말아야 할까요..?
21년도에 건강검진 했다가 자궁경부암 전구단계 의심 소견을 받았어요(첫번째 사진). 그래서 대학병원 가서 재검사 하고 (두번째 사진) 자궁경부암 정상인데 인유두종 52번 양성이라고 문자를 받았어요.. 이게 23년 2월 10일에 받은 결과이고 23년 1월 30일에 검사한 건강검진결과에서는 (3번째 사진) 자궁경부세포검사상 반응성 세포변화가 있다고 받았거든요. 네이버에서는 인유두종은 자연적으로 없어지기도 한다고 하는데 반응성 세포변화? 그건 병원 가면 치료 방법이 있을까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2월3일에 가다실 맞았는데 이미 걸린건 어쩔 수 없는 거겠지요..?😭
국가자궁경부암 검진만으로 자궁경부암 검사가 충분한가요? 국가자궁경부암 검사에서 정상이 나왔고 반응성 세포 변화가 나왔다면 hpv바이러스는 없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