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지름 제거 후 음성 hpv 검사 결과, 조직검사인가요? 곤지름이 아닐 수 있나요?
곤지름 제거 시술 후 hpv 검사 결과 음성이라는데 이는 조직검사인가요 아니면 hpv pcr인가요? 또 곤지름이 아닐 수 있나요?
곤지름 제거 시술 후 hpv 검사 결과 음성이라는데 이는 조직검사인가요 아니면 hpv pcr인가요? 또 곤지름이 아닐 수 있나요?
곤지름 제거 후 HPV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면, 이는 대개 HPV PCR 검사를 통해 확인된 결과일 것입니다. 조직검사는 병변의 형태학적 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HPV 감염 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데는 PCR 검사가 더 적합합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HPV 검사의 정확도는 여성에 비해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곤지름이 아닐 가능성도 있습니다. 곤지름은 주로 HPV 6, 11, 16, 18형 등에 의해 발생하지만, 다른 원인으로 인해 유사한 병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 90% 이상 진단이 가능하지만, 10%에서는 다른 질환과 구분이 되지 않아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평가와 적절한 검사가 필요하며, 검사 결과와 증상에 대해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HPV 11번을 가진 남성과 성기 접촉후 한달, 또 직접적인 삽입이 있던후 일주일 뒤에 산부인과에서 곤지름 초기같다 하시면서 약물치료를 해주셨습니다. 이때 따로 조직검사나 HPV검사를 시행하진 않았고, 일주일 정도 더 뒤에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본 결과 다른 부분에서 곤지름을 발견하진 못했고, HPV 검사 결과도 음성이 나왔습니다. 1. 곤지름을 초기에 발견해 제거했다면, HPV가 빠르게 소실될수도 있나요? 2. HPV를 가진 남성과 관계를 했더라도, 처음에 제가 가진게 곤지름이 아닐수도 있을까요? 3. 제가 했던 HPV 검사가 위음성 확률이 있다고는 하지만 접촉 한달, 성관계 2주 뒤에 한 HPV검사 결과가 그래도 신뢰가 있을까요? 4. 제게 곤지름이 생기진 않는지 주기적으로 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싶은데, 검진 주기는 어느 정도로 하는게 좋을까요? 5. 만약 저에게 곤지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추가적으로 HPV검사를 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1년뒤에 해도 될까요?
hpv는 음성인데 조직검사시 곤지름으로 확인되었어요 hpv가 소멸되고 곤지름만 남은걸까요?
소음순 입구쪽에 양쪽 대칭으로 작고 말랑한 돌기가 하나씩 생겨서 산부인과에서 제거 받았습니다, 선생님은 곤지름 같다고 하셨는데 이때 따로 조직검사를 했던 건 아니었고, 후에 다른 부위에서는 곤지름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또 HPV 검사 결과도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남자친구가 HPV 11번 양성이 나왔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가지고 있던건 곤지름이 아니라 일반 유두종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1. 남자친구가 HPV 11번 보균자라고 해도, 저에게 있었던 게 곤지름이 아닌, 유두종이었을 확률도 있나요? 2. 만약 제가 곤지름이 맞았다면, 엄청 극초기에 발견한것인데 병변을 빨리 제거 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음성이 나온걸까요? 3. 2년전 성경험이 없을때 가다실9가를 접종 했습니다. 이 접종이 HPV 감염을 막진 못했더라도 후에 회복에 도움이 조금이라도 될까요? 4. 이후 검사에서도 곤지름이 발견되지 않고, HPV 감염이 없다면 바이러스가 없다고 봐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