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손가락 찢어진 상처, 언제부터 물이 묻어도 되나요? 소독과 구부림 어려움, 상태는 어떤가요?
새끼손가락이 찢어져서 7바늘 꼬맨지 한달정도 되었습니다 다친지 일주일만에 실밥은 뽑았는데 언제부터 물이 묻어도 되는지요? 지금도 매일 소독은 하고 있는데 뱐드를 풀고 있으면 약간씩 붓는것 같아요. 아직도 구부리는게 좀 어렵습니다 잘 낫고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새끼손가락이 찢어져서 7바늘 꼬맨지 한달정도 되었습니다 다친지 일주일만에 실밥은 뽑았는데 언제부터 물이 묻어도 되는지요? 지금도 매일 소독은 하고 있는데 뱐드를 풀고 있으면 약간씩 붓는것 같아요. 아직도 구부리는게 좀 어렵습니다 잘 낫고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상처가 찢어져서 꿰맨 후 한 달이 지났고, 실밥을 제거한 지 일주일이 지났다면 일반적으로는 물이 닿아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상처의 치유 상태나 붓기, 통증 등의 증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직접 상처를 볼 수 있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매일 소독을 하고 계시다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겠지만, 붓는 증상이 있다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구부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이는 정상적인 치유 과정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때로는 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하기 위한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상처 부위의 붓기가 지속되거나 통증이 심하다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까운 병원이나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는 상처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부위에 회복이 진행돈 상태로 딱지가 떨어졌다면 추가적인 소독이나 밴드는 필수는 아니나 경과관찰 소견은 담당의 확인이 필요할 수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손가락에 심한 패임 상처로 봉합하고 한달가량 경과되었습니다. 상처가 붙어 회복되고있는데 손가락을 구부리면 피부가 땡기는 느낌이 들어 일정 범위 이후로는 구부릴수가 없습니다. 빠르게 원상회복되기를 원하는데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계속 한계범위 내로 구부려주며 가동범위를 늘려보는게 좋은가요?
새끼 길고양이한테 얼굴 턱쪽을 물려서 피는 나오게 두고 흐르는 물에 씻고 비눗물로도 씻고 소독후에 밴드 붙혔는데 상처부위만 욱씬거리고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검지 손가락 끝이 욱신 거려요 병원 가야하나요?
넘어져서 왼쪽 손가락 검지 마디쪽에 상처가 생겨 제 나름대로 소독을 계속 했습니다. 그런데, 다치고 난 후 하루 뒤 상처 부위가 하얗게 변했고 검지 마디 전체가 부어 오르고 손가락이 잘 안 구부려지더라고요. 현재 다친지 5일 정도 지났는데 그래도 이전보다는 손가락 붓기도 많이 빠져서 조금 부어있지만, 밑에 사진처럼 반쯤까지만 이전과 똑같이 손가락이 잘 안 구부려지고 있습니다. 처음보다는 통증이 덜 하지만 가끔씩 통증이 있습니다. 음... 상처가 나고 고름이 차서 손가락이 잘 안 구부려지고 있는 걸까요? 그래도 점점 가라 앉고는 있는데 지금 현 상태에서 병원을 가보는 게 좋을지 한번 여쭤봅니다! 병원을 가지 않아도 된다면 현 상태에서 어떻게 개인적으로 상처를 치료해야하는 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