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복용 후 단백뇨 개선 시 치료 완료 여부
건강검진시 단백뇨 1+나왔습니다 혈압도 높아 혈압약을 먹었고 혈압이 안정화되어 단백뇨가 안나온다면 치료가 된거가요? 혈압약은 계속 먹을 예정이구요! 신사구체 여과율 122 혈청 0.7입니다!
건강검진시 단백뇨 1+나왔습니다 혈압도 높아 혈압약을 먹었고 혈압이 안정화되어 단백뇨가 안나온다면 치료가 된거가요? 혈압약은 계속 먹을 예정이구요! 신사구체 여과율 122 혈청 0.7입니다!
단백뇨가 혈압 조절 후에 사라진다면, 이는 혈압 조절이 단백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단백뇨는 감염, 약물복용, 심한 운동,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혈압이 높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어요. 따라서 혈압약을 복용하여 혈압이 안정화되고 단백뇨가 사라졌다면, 혈압 조절이 단백뇨 감소에 도움이 되었을 수 있지만, 단백뇨가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신사구체 여과율(GFR) 122와 혈청 크레아티닌 0.7은 신장 기능이 정상 범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건강한 신장 기능을 의미해요. 혈압약을 계속 복용하시면서 정기적으로 신장 기능과 단백뇨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여 지속적인 관리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혈압은 높지만 관리핑계로 약은 안먹고 있었습니다 다른것은 다정상인데 단백뇨 의심으로 1+과 2+ 결과를 받았고 신사규체여과율은 122 혈청은 0.7로 받았습니다 이번에 검진으로 단백뇨가 나와 혈압약을 복용하고있습니다 1. 단백뇨가 저수치면 신장기능이 많이 안좋은가뇨? 심부전인가요? 2. 혈압약으로 단백뇨가 정상으로 될수 있나요? 3. 치료가 아니가 관리의 개념으로 알아야 하나요
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혈압은 높지만 관리핑계로 약은 안먹고 있었습니다 다른것은 다정상인데 단백뇨 의심으로 1+과 2+ 이번에 검진으로 단백뇨가 나와 혈압약을 복용하고있습니다 1. 단백뇨 검사를 언제 다시해봐야 하나요? 약을 먹으면 단백뇨 수치가 바로 떨어 지나요? 매일매일 하는건 의미없나요? 2. 혈압약을 먹게 되면 그날 바로 떨어지나요? 언제쯤 효과가 나타나요? 아침은 정상 밤이면 또높아요 3. 혈압약 용량이 약마다 다른거 같은데 아플로벨정 150은 용량이 큰기요? 4. 혈압약마다 이름도 다르고 숫자도 다른데 아프러밸정150이 용량이 많은지 레보텐션 2.5이 용량이 많은지 구분방법이 있나요?
임신준비중이나 임신중에도 먹을수있는 단백뇨조절되는 혈압약이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