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의 손목골절, 수술이 필요한가요? 통원치료만으로 충분할까요?
구순의 어머님이 손목골절을 당하셨는데 당뇨 고혈압 심장약을 드시고 계십니다 병원서 엑스레이 시티 찰영 다했고 수술하라하는데 전신마취부담 때문에 망설여진다고 했더니 그럼 보호자가 선택하라하며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권하지는 않더라구요 구순의 노인 술해야하나요? 좀 더디더라도 통원치료 해도 되나요?
구순의 어머님이 손목골절을 당하셨는데 당뇨 고혈압 심장약을 드시고 계십니다 병원서 엑스레이 시티 찰영 다했고 수술하라하는데 전신마취부담 때문에 망설여진다고 했더니 그럼 보호자가 선택하라하며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권하지는 않더라구요 구순의 노인 술해야하나요? 좀 더디더라도 통원치료 해도 되나요?
구순의 어머님께서 손목 골절을 당하셨고,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을 앓고 계신 상황에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전신마취는 고령 환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다른 질환을 앓고 계신 경우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손목 골절의 경우,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통원 치료 포함)의 선택은 골절의 종류, 위치,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회복 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골절이 제대로 치유되지 않거나 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수술을 할 경우에는 마취와 수술 자체로 인한 위험이 있습니다. 환자분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골절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치의와 상의하에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치의는 환자분의 건강 상태와 골절의 정도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이므로, 그들의 의견을 신중히 듣고, 필요하다면 두 번째 의견을 구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수술을 하지 않고 통원 치료를 선택한다면, 정기적인 방문과 X-레이 검사를 통해 골절의 치유 과정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 방법을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물리치료와 같은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환자분의 건강 상태와 생활의 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길 권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한달전에 배도아프고 골반도 아프고 허리도 아파서 산부 인과를 갔더니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과 방광염이라고해 서 치료를 받았는데 계속 아파서 생리 끝나고 산부인과 갔더니 방광염은 없어지고 내진했는데 배 눌렀을때 아프 지않다 했더니 다 나았다고 하시는거에요 근데도 불구하 고 골반도 아직 아프고 허리 통증도 있고 아랫배도 살살 아파요 노란냉도 계속 나오고 아직 질도 간지러운거같아요 골반이랑 허리에 화한 기분도 들어요 왜그럴까요?? 4달동안 계속 아파서 너무 스트레스 받아요 났지않아 부정적인 생각만 자꾸 들고요
요즘 자살 생각을 많이하고있어요. 내가 대학교를 졸업하지 못하면 멍청하고, 내가 취업하지못하면 머저리고 내가 부모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스스로를 가치가 없는 사람으로 생각하는게 제일 고통스러워요. 그 고통의 강도가 너무 쎄서 감정을 느끼는 것이 귀찮게 느껴집니다. 근데 감정이란게 제 마음대로 되는게 아니라서 갑자기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때마다 어떻게 감당해야할 지 잘 모르겠어요. 스스로 휴식을 취하기 위해 끼니를 거르고 잠을 오래 자거나 아니면 한번에 많이 먹고 토할때도 있어요. 점점 소화력이 약해지고 몸이 망가져가는게 느껴집니다. 어떻게 하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스트레스를 감당해낼수있을까요?
허리 배 골반이 너무 아파요 왜 그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