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 봉합 후 약을 바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유리에 손목이 찍혀 방금 응급실에서 테이프 봉합을 하고왔습니다. 깊지않아 테이프로 가능할 것같다고하셨습니다. 먹는약도 처방받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소독, 테이프, 밴드 다했는데 위에 약을 바르지않았습니다. 일반적인가요? 원래 테이프봉합 하면 약을바릊ㆍ않나요?
유리에 손목이 찍혀 방금 응급실에서 테이프 봉합을 하고왔습니다. 깊지않아 테이프로 가능할 것같다고하셨습니다. 먹는약도 처방받고 했는데 생각해보니 소독, 테이프, 밴드 다했는데 위에 약을 바르지않았습니다. 일반적인가요? 원래 테이프봉합 하면 약을바릊ㆍ않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테이프 봉합(스테리 스트립이나 피부 접착 테이프) 후에는 보통 별도로 연고를 바르지 않아요. 테이프 봉합의 목적은 상처 가장자리를 밀착시켜 자연스럽게 아물도록 돕는 거라, 연고를 바르면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거든요. 특히 항생제 연고 같은 걸 바르면 테이프가 금방 떨어질 수도 있어서 보통은 따로 바르지 않아요. 대신 의사가 먹는 항생제나 소독 방법을 알려주셨다면 그걸 잘 따라가시면 돼요. 대신 테이프가 젖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해요. 씻을 때 물이 닿으면 금방 떨어질 수 있으니, 가능하면 물이 직접 닿지 않게 주의해주시고, 젖었다면 깨끗한 면봉 같은 걸로 살살 눌러서 말리는 게 좋아요. 그리고 보통 3~7일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지거나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상처 상태를 잘 확인하면서 관리하면 돼요. 혹시라도 붓기나 열감, 고름 같은 감염 증상이 생기면 바로 병원 가는 게 좋고, 테이프가 너무 빨리 떨어졌거나 상처가 벌어지는 느낌이 들면 다시 병원에서 확인받는 게 좋아요.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처방받은 약 잘 챙겨 드시면서 상처 관리해 주세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대면진료 이용방법? 어렵지 않아요. 비대면진료 어플 닥터나우로 비대면진료 받는 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어제 병원에서 봉합 후에 살색 종이테이프를 붙여줬고 오늘 소독하고도 테이프를 붙였습니다. 보통 봉합 후에 테이프를 붙여놓나요? 인터넷 사진 보면 거의 다 테이프를 붙이지 않아서요. 공기가 통하는게 나을 거 같기도 한데.. 월요일에 다시 내원할건데, 괜찮을까요?
봉합테이프로 관리하고 있었는데 살이 이상하게 차오른 것 같아요 계속 봉합테이프로 관리해야 하나요 아님 살을 잘라내야 하나요?
포경수술 21일차 이거 벌어진거죠? 재봉합을 해야하나요? 재봉합하기엔 너무 늦지 않았을까요? 아이가 병원가는걸 무서워하는데 집에서 의료용 테이프로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