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안쪽 복사뼈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을 접질린 이후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연부조직 손상: 엑스레이와 MRI에서 뼈나 인대의 명확한 손상이 보이지 않더라도, 작은 연부조직(힘줄, 근육, 관절낭 등)의 염증이나 미세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 안쪽에는 후경골근 힘줄이나 다른 작은 인대들이 위치해 있어 이 부위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힘줄염 또는 건염: 발목 안쪽에는 후경골근 힘줄이 지나가는데, 이 힘줄이 과도하게 사용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MRI에서 명확히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염증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관절의 불안정성: 발목을 접질린 이후 관절이 약간 불안정해지면서 특정 움직임에서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발목을 돌릴 때 소리가 나는 것도 관절의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신경 문제: 발목 부위에는 작은 신경들이 지나가는데, 접질림으로 인해 신경이 자극되거나 눌렸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특정 자세나 움직임에서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근육 불균형: 발목 부상을 입은 후 주변 근육이 약화되거나 불균형이 생기면서 특정 부위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현재 MRI와 엑스레이에서 명확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통증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면 추가적인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조치를 고려해보세요:
- 재활 치료: 물리치료를 통해 발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운동을 시작해보세요.
- 초음파 유도 주사 치료: 염증이 의심되는 부위에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정밀 신경 검사: 신경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발목 보조기 사용: 발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전문의와 다시 상담하여 추가적인 치료 옵션을 논의해보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