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산 7.1, 크레아키닌 1.26, 신장이 안좋은가요?
요산 7.1 크레아키닌 1.26 인데요 신장이 많이 안좋은가요?
요산 7.1 크레아키닌 1.26 인데요 신장이 많이 안좋은가요?
요산 수치가 7.1이고 크레아티닌 수치가 1.26이라면, 신장 기능에 대해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요산의 정상 수치 범위는 남성의 경우 3.4-7mg/dL로, 요산 수치가 약간 높은 편입니다. 크레아티닌의 경우 혈중 정상 범위는 0.7-1.4mg/dL이므로 현재 수치는 정상 범위 안에 들어가지만, 정상 범위의 상한에 가까운 상태입니다. 이는 신장 기능에 부담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평가를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장 전문의와 상담하여 더 구체적인 진단과 관리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크레아티닌 수치는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의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생산되는 노폐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신장 기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됩니다. 혈액 속에 크레아티닌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수분 섭취를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약물 복용 등을 통해서도 수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해당 검사를 시행한 병원의 의료진과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83cm 75kg 28세 남성입니다 최근에 몸이 안 좋아서 (밥 맛 없고 설사하고 체중 빠지고) 검사해보니 10/10 크레아틴 1.3 10/24 크레아틴 1.26 요산 수치가 높아 요산 저하제 처방 받음 11/7 크레아틴 1.15 11/28 크레아틴 1.2 단백뇨, 혈압 없고 다른 수치는 모두 정상입니다 평소에 수면 시간이 적은편이고 (5~6시간) 무릎을 다쳐 2년 간 진통제를 먹었었고 이후에 활동량이 줄었습니다 1. 복부 초음파에서는 왼쪽 신장에 물혹으로 보이는 까만 공간이 있었고 타 병원에서 받은 췌장 MRI(가족력 있어 받음) 상에선 췌장, 신장에 구조적 이상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이게 췌장 MRI에서는 왼쪽 신장은 안 보여서 그런가요? 2. 신장 기능이 떨어진 주요 원인을 진통제나 수면 부족으로 봐야 할까요? 고기(단백질) 섭취로 봐야할까요?
통풍 처음 진단 받았습니다. 2월 26일 유소릭정80 을 먹고나서 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있어서 의사 선생님과 상담후 약을 끊어보자 하셔서 이틀째 약을 안먹고 있습니다. 몸의 오한 저릿 등 통증 통풍 진단 받기전 발목 통증만 있을뿐 멀쩡 했습니다. 요산수치 9.2 요산저하제 약을 먹고 안먹으면 요산수치가 확 오르나요? 요산 저하제 한알 먹고 끊으면 신장이 나빠지나요? 요산 저하제 먹고나서 끊으면 갑자기 신장에 무리가 오거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나요?
BC Ratio : 10.1 혈중 크레아티닌 : 1.23 요산: 7.7 A/G 비율 : 1.4 요소질소 : 12.4 요산과 혈중크레아티닌 bc ratio 수치가 참고치보다 높게 나왔는데 많이 높은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