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결절의 비정형 세포 소견과 관련하여 걱정이 크시겠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갑상선과 주변 조직의 구조적 이상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지만, 초음파만으로는 전이 여부를 확실히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세침흡인세포검사(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결과: 이미 진행하신 검사의 결과를 기다리시는 중이시고, 이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
혈액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TSH, Free T4 등)와 갑상선 자가항체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등이 있습니다.
-
영상 검사: 갑상선과 주변 조직의 상태를 더 자세히 보기 위해 CT, MRI 또는 PET-CT와 같은 영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조직 검사: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에 따라 의심되는 경우, 정밀한 진단을 위해 조직 생검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전신 검사: 전이가 의심될 경우, 전신적인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뼈 스캔이나 전신 PET-CT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결절의 성격과 전이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며, 갑상선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검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갑상선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가 나오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검사 여부와 치료 계획을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걱정되시겠지만,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너무 미리 걱정하지 마시고,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