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모토 갑상선염 진단 후 갑상선 결절 추적 검사 필요한가요?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나오면 갑상선 결절이 있어도 추적 검사 안하나요? 단순 갑상선 결절로 결정났는데 조직검사를 따로 안했거든요 그 이유가 궁금해서요!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나오면 갑상선 결절이 있어도 추적 검사 안하나요? 단순 갑상선 결절로 결정났는데 조직검사를 따로 안했거든요 그 이유가 궁금해서요!
하시모토 갑상선염 진단을 받으셨더라도 갑상선 결절에 대한 추적 검사는 필요할 수 있어요.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갑상선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지만, 갑상선 결절이 있는 경우에는 결절의 성격을 평가하고 추적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죠. 단순 갑상선 결절로 결정된 경우, 결절의 크기와 모양, 초음파 소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직검사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결절이 작고 악성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면 조직검사를 생략할 수 있어요. 그러나 결절이 크거나 악성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통해 더 정확한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있는 경우에도 갑상선 결절에 대한 정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해 결절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해요. 주치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추적 검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겠어요. 만약 의사 선생님이 추적 관찰을 권장하셨다면, 권장 기간에 맞춰 정기 검진을 해주시면 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원장님 저는 아급성 갑상선염 진단을 받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왔었습니다 몇개월 뒤 방금 내과 가서 피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는데 갑상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아급성 갑상선염 진단받으면 항진증 ->저하증->정상 이수치로 돌아온다는데 저는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안온거 같아요 아급성 갑상선염->갑상선기능항진증->정상 이렇게 되었는데 아급성갑상선염 걸렸을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안오고 바로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나요?
질정을 사볼려고. 검색을한결고ㅏ. 지노베타딘 질좌젝의. 주의사항입니다. 주의사항 - 갑상선기능 이상 환자(특히 결절성 갑상선종, 지방병성 갑상선종, 하시모토갑상선염 등), 신부전환자, 포진상 피부염 환자나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후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갑상선기능검사를 했는데 tsh가 4.850이 나와서 경계성에 걸쳐있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는데 이상태도 갑상선기능저하증에 걸렸다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원인을 알고싶은데 이럴땐 어떤 검사를 받나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대부분이 하시모토갑상선염이라는데 이거는 대부분 만성적이라고 들어서요 그리고 하시모토갑상선염의 증상은 뭔가요? 하시모토갑상선염에 걸리고 바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나는건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