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기능 저하 시 당뇨망막증 지연 가능?
당뇨 고지혈 고혈압이 있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있어서 54프로고 크레아티닌이 1.45입니다. 칼륨은 좋습니다. 최근 안과에서 당뇨막망증 초기에서 약간 진행되었다는데 신장기능이 떨어져도 당뇨막망증을 지연시킬수 있을까요? 그리고 당뇨망막증엔 어떤 약이 쓰이나요? 눈약은 신장에 괜찮을까요? 먹는 약은 어떨까요? 좋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당뇨 고지혈 고혈압이 있고 신장기능이 저하되있어서 54프로고 크레아티닌이 1.45입니다. 칼륨은 좋습니다. 최근 안과에서 당뇨막망증 초기에서 약간 진행되었다는데 신장기능이 떨어져도 당뇨막망증을 지연시킬수 있을까요? 그리고 당뇨망막증엔 어떤 약이 쓰이나요? 눈약은 신장에 괜찮을까요? 먹는 약은 어떨까요? 좋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AD
당뇨망막증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혈당, 혈압, 그리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을 잘 관리하면 당뇨망막증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경우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증식, 부종, 출혈을 일으켜 망막세포를 사멸시키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조기 치료가 상당히 중요해요. 당뇨망막증 치료에는 주로 항VEGF 주사제나 레이저 치료가 사용됩니다. 항VEGF 주사제는 눈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어 신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항체주사 치료, 국소레이저광응고술, 범망막응고술, 유리체절제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적용 가능한 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먹는 약의 경우 신장 기능에 따라 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약물과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상 주치의와 상담하여 본인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안과 검진을 통해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