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로 인한 잠 못 이루는 증상, 약을 바꿔야 할까요?
심한스트래스때문에 잠을못자고 자도2-3가이면 눈이떠지고 다시자려노력해도 잠을못잡니다 7일정도됬는데 병원가서 약처방받고 자도 비슷한증상입니다 약을바꿔야하나요
심한스트래스때문에 잠을못자고 자도2-3가이면 눈이떠지고 다시자려노력해도 잠을못잡니다 7일정도됬는데 병원가서 약처방받고 자도 비슷한증상입니다 약을바꿔야하나요
스트레스로 인해 잠을 제대로 못 주무시는 것 같아 많이 힘드시겠어요. 현재 복용하고 계신 약으로도 7일 이상 불면증 증상이 지속되고 계시다면, 약을 바꿔야 할지 고민이 되실 수 있습니다. 신경 안정제와 수면유도제의 경우 개인에 따라 효능과 부작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초기 약물 복용 당시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저용량으로 이상 반응을 살피며 의사와 함께 유지 용량을 조절하게 됩니다. 따라서 담당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현재 증상과 약의 효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증상에 맞는 적절한 약물 조정이나 다른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잠을 잘 자야만 한다는 강박을 내려놓고, 건강한 식습관과 가벼운 운동, 자기 전 따뜻한 차 마시기, 잠이 오지 않아도 불 끄고 눈 감고 있기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약을 복용하면서 불편감을 느끼거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재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다른 병원에 내원하여 다른 의사 선생님의 소견을 듣고 약의 변경을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방법이나 수면 위생 개선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최근 여러가지 일이 복합적으로 일어나 우울증 증상을 보이며 피해망상과 약한 공황이 생기고 심리적 불안감과 자살충동이 계속 듭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새벽 3시 4시까지 잠을 못이루거나 아예 잠을 못이루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신과 약을 처방받았던 주변 지인의 경험담으로는 "약 복용을 하고 나면 내가 내가 아닌 것 같았다. 그저 말을 잘 듣는 인형이 된 기분이었다"라는 말을 하길래 정신과에 가는것이 두렵기도 합니다. 상담사님에게 상담은 받고 있지만 상담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약물치료를 고려중입니다.
극심한 스트레스로 심장이 빠르게 뛰고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불안하고 가슴이 답답합니다.
어제와 마찬가지로 후비루 증상으로 누우면 기침이 너무 많이 나서 잠을 못자고 있네요 ㅎㅎ 어제는 새벽 2시까지 앉아 있다가 너무 졸려서 기절하듯 잠들었는데요. 2~3시간 자다 깼어요. 그런데 오른쪽 눈 흰자가 빨갛고 충혈됐더라구요. 누런 눈꼽 같은 알갱이들과 끈적이는 이물질에 눈이 잘 안 떠진걸 보면 콧물이 오른쪽 눈으로 찼던 것 같아요. 5시쯤 일어났다고 치면 21~22시간이 지났는데도 아직 충혈기가 사라지지 않은 걸 봐서는 내일 병원에 또 가야겠죠? ㅠ 2일차 약까지 먹으니 확실히 콧물 양은 어제 보다 줄어든거 같아요. 오히려 목의 간질거림이 심해진 거 같습니다. 침삼킬 때 아프거나 그런 건 아니지만, 축농증이 오기 전 3일동안 강한 인후통이 있었는데 다 낫지 않아서 이런 게 아닌가 싶습니다.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셨지만 효과는 없네요 ㅎㅎ 목이라도 괜찮으면 후비루 증상에도 기침은 안 날까요? 제발 만성환자는 안 되길 기도 중입니다. 정말이지 푹 자고 싶은 밤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