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 장애로 정신과 방문이 필요한가요?
몇달 째 분노조절이 안되는데 이걸로 정신과를 가도 될까요? 아주 뭐든 제 마음대로 안되는게 있으면 짜증나 죽겠습니다 제발 제 마음을 다스리고 싶은데 약으로 조절이 될까요?
몇달 째 분노조절이 안되는데 이걸로 정신과를 가도 될까요? 아주 뭐든 제 마음대로 안되는게 있으면 짜증나 죽겠습니다 제발 제 마음을 다스리고 싶은데 약으로 조절이 될까요?
분노조절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분노조절장애는 상황에 맞지 않게 분노를 폭발하는 증상을 말하며, 이로 인해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면 기분조절제, 항경련제, 항불안제 등의 약물치료 또는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등 비약물적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상담을 통해 감정 조절 방법을 배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분노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하여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면 진료가 어려우시다면 닥터나우 비대면 진료를 통해 약 처방을 받아보실 수도 있습니다. 단, 마약류 혹은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은 일반/전문의약품만 처방 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정신과 약을 갑자기 끊으면 설사, 열, 기침, 콧물, 손발차가움, 분노 조절 장애 증상이 일어날 수 있나요?
미성년자인데 정신병원가서 수면제 정서불안장애 분노조절장애 약 받을건데 부모님 없이도 약을 처방해주나요?
분노 조절 장애 포함하여 일상에 큰 장애물이 될만큼 어느 순간부터 성격이 너무 좋지않게 변해갑니다...정신과 상담을 받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