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의 분노조절장애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시 보호자가 함께 진료실에 들어갈 수 있을까요?
배우자의 분노조절장애로 정신건강의학과에 가보기로했지만 거부감이 드는데 억지로 자기가 멀쩡하다는걸 증명하기위해 가보겠다고합니다.이럴경우 정확한 진료 및 검사가 어려울것같아...혹시 보호자가 환자의 증상을 진료실에 함께들어가서 말씀드릴수있을까요?
배우자의 분노조절장애로 정신건강의학과에 가보기로했지만 거부감이 드는데 억지로 자기가 멀쩡하다는걸 증명하기위해 가보겠다고합니다.이럴경우 정확한 진료 및 검사가 어려울것같아...혹시 보호자가 환자의 증상을 진료실에 함께들어가서 말씀드릴수있을까요?
네, 배우자의 분노조절장애 증상에 대해 보호자가 함께 진료실에 들어가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보호자의 관찰이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그러나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와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진료 전에 배우자와 충분히 상의하시고, 병원에 예약하실 때 이러한 상황을 미리 설명하고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환자 본인이 거부감을 느끼고 있어도,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적절한 절차를 통해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요도를 통해서 방광에 길고 얇은 이물이 들어갔는데 갈색뇨가 나오고 통증이 심해요 소변을 본 후에도 통증이 좀 가고요 수술을 통해서 빼야 하나요? 미성년자인데 수술을 하려면 보호자 동의가 필요하다는 건 알고 있어요 수술하지 않고 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산부인과와 비뇨기과 중 어디로 가야하나요? 진료를 볼 때 보호자가 함께 진료실에 있나요? 혼자 진료실에 들어갈 수 있나요? 보호자도 진료 결과를 알게 되나요? 수면 마취를 할 때는 보호자 동의가 필요한가요? 가격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산부인과 검사할때 진료실안에 부모님이 함께들어가나요? 특히 성관계 유무 물을 때 부모님은 안계시는 공간에서 질문하나요?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관련 질문입니다. 아는 미성년자 동생이 정신과 진료를 필요로 해서 같이 내원을 생각 중이에요. 저는 부모 등 법적인 보호자가 아닌데 상관 없을까요? 혹은 미성년자가 혼자 진료를 볼 수 있나요? 검색해보니까 진료를 혼자 받는 것은 괜찮지만 약물치료를 받으려면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나오는데 맞는 정보인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