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정밀검사로 후유리체 박리 여부 확인 가능한가요?
1. 안과에서 진행하는 망막 정밀검사를 통해 후유리체 박리여부를 알 수 있나요? 2. 광시증에 있어 안과에 가보니 꽉 채워진 유리체가 벽에서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는 중이고, 일부 덜 분리가 된 부분에서 번쩍번쩍 빛이 나는 거라고 하셨는데 이게 후유리체 박리를 의미하는건가요?
1. 안과에서 진행하는 망막 정밀검사를 통해 후유리체 박리여부를 알 수 있나요? 2. 광시증에 있어 안과에 가보니 꽉 채워진 유리체가 벽에서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는 중이고, 일부 덜 분리가 된 부분에서 번쩍번쩍 빛이 나는 거라고 하셨는데 이게 후유리체 박리를 의미하는건가요?
1. 네, 안과에서 진행하는 망막 정밀검사를 통해 후유리체 박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안저검사, 광학적 단층 촬영(OCT), 초음파 검사 등이 후유리체 박리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검사들은 망막의 상태를 자세히 볼 수 있게 해주어 후유리체 박리의 존재와 범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광시증 증상에 대해 안과 의사가 설명한 내용은 후유리체 박리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눈의 중심부에는 유리체라고 하는 투명한 물질이 있어요. 이 유리체는 젤리와 같은 상태로 있다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액화되고 눈의 외벽에서도 떨어지게 돼요. 이걸 후유리체 박리라고 하는데 노화에 의한 생리 현상이라고 해요. 이 과정에서 유리체가 망막에 달라붙어 있는 부분에서 빛이 반사되어 번쩍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며 대부분의 경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때때로 망막에 구멍이나 찢어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유리체출혈과 유리체박리는 같은뜻인가요?
보통 안과의사들은 산동제를 넣고 세극동현미경으로 봤을때 유리체출혈인지 유리체박리인지 구분할수 있나요? (둘이 비슷한 모양인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유리체출혈인경우 조영제투여하는 형광안저검사 시행이 가능한가요 해로운가요? 형광안저검사로 출혈여부를 알수있나요? 그리고 출혈이나 박리에 스테로이드 안약이 도움이 되는지 알려주세요 덜컹이는 자동차나 재채기등도 삼가야할까요 출혈에 도움이 되는 행동이나 삼가야할것들도 알려주세요
안구 유리체가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약해지거나 박리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만약 그럴 기미가 보일 경우 유리체 내부에 인공적으로 체액을 주입하는 식으로 치료가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