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에서 진통제 처방이 가능한가요?
협착증과 골다공증이 심한 저희할머니가 피부암 의심으로 인하여 대학병원 피부과에 외래 진료 예정입니다. 대학병원 예약잡기 굉장히 어려운데 평소에 관절통이나 근육통이 심하여 피부과에서 진통제를 처방받을수 있을까요? 기존에 동네병원에서 가바로닌,이티민정,동광세레콕시브캡슐,레이본정,미오페닐정,디카맥스디정 복용중입니다.
협착증과 골다공증이 심한 저희할머니가 피부암 의심으로 인하여 대학병원 피부과에 외래 진료 예정입니다. 대학병원 예약잡기 굉장히 어려운데 평소에 관절통이나 근육통이 심하여 피부과에서 진통제를 처방받을수 있을까요? 기존에 동네병원에서 가바로닌,이티민정,동광세레콕시브캡슐,레이본정,미오페닐정,디카맥스디정 복용중입니다.
AD
피부과는 주로 피부 질환과 관련된 치료를 담당하는 진료과로, 관절통이나 근육통과 같은 증상에 대한 진통제 처방은 피부과의 전문 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부암 의심으로 대학병원 피부과 외래 진료를 예정하고 계시다면, 진료 중 통증에 대해 언급하시면 피부과 전문의가 필요 시 다른 관련 진료과로 의뢰하거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할머니께서 복용 중인 약물(가바로닌, 이티민정, 동광세레콕시브캡슐, 레이본정, 미오페닐정, 디카맥스디정)은 관절통 및 근육통 관리에 사용되는 약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기존에 진료를 받으셨던 동네병원이나 정형외과, 류마티스내과 등에서 지속적인 관리를 받으시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협착증과 골다공증이 심하신 상태라면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관절통 및 근육통에 대한 관리는 기존 병원에서 계속 진행하시고, 필요 시 대학병원에서 다른 진료과와 협진을 요청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예약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피부과 진료와 별도로 관절통 및 근육통에 대한 관리는 기존 병원에서 지속적으로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대학병원 진료 시 통증과 관련된 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시면, 피부과 전문의가 다른 진료과와 협진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할머니의 상태를 고려하여 통증 관리와 피부과 진료를 병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세균성 질염으로 항원충제 처방받았고 손가락 힘줄에 염증? 때문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소염효소제 처방 받았고 원래 피부과에서 처방받아 먹던 이소티논이랑 염증약? 이 있거든요... 이 세가지 약을 한꺼번에 먹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저희 어머니께서 두 달 전에 어깨 탈골 및 골절로 수술하시고 통증이 좀 심하셔서 정형외과에서 약을 처방 받으셨습니다. 그런데 이틀 전에 어머니께서도 대상포진에 걸리셔서 피부과에서 약을 처방 받으셨는데 진통제와 위약이 중복되어 있어서 어떻게 복용해야할지 몰라서 올려봅니다. 어떤 약을 제외하고 먹어야 할까요?? 그리고 특히 진통제약 관련하여 주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알레리온정, 베타리온정, 독시메디정 하루에 두번 먹고있는데 생리통 때문에 진통제 추가로 먹어도될지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