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등원할 때 우는데 엄마가 있으면 우지 않는 이유는 애착 형성이 잘 안 되었을까요?
아들을 11개월부터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처음부터 울지도 않고 엄마랑 잘 떨어져 적응도 잘했었습니다. 이제 맞벌이로 남편이 등원시키는데 남편이 등원시킬때마다 아기가 운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랑 남편 둘이 등원시켰는데 표정은 안 좋지만 울지 않았습니다. 엄마인 제가 있으면 등원할때 안 우는데 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아들을 11개월부터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처음부터 울지도 않고 엄마랑 잘 떨어져 적응도 잘했었습니다. 이제 맞벌이로 남편이 등원시키는데 남편이 등원시킬때마다 아기가 운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랑 남편 둘이 등원시켰는데 표정은 안 좋지만 울지 않았습니다. 엄마인 제가 있으면 등원할때 안 우는데 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아이가 등원할 때 우는 것은 애착 형성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어요.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이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특히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엄마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마가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울지 않는 것일 수도 있어요. 남편이 등원시킬 때 아이가 우는 것은 아마도 엄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나 불안감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남편이 아이와의 시간을 더 많이 보내고, 등원 전후로 아이와의 상호작용을 늘려 아이가 남편과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가 점차 적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아이가 엄마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시고, 아이가 엄마와 함께 있을 때 느끼는 안정감을 남편과도 느낄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 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아들을 11개월부터 어린이집에 보냈는데 처음부터 울지도 않고 엄마랑 잘 떨어져 적응도 잘했었습니다. 이제 맞벌이로 애기 14개월부터 남편이 등원시키는데 남편이 등원시킬때마다 아기가 운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랑 남편 둘이 등원시켰는데 표정은 안 좋지만 울지 않았습니다. 엄마인 제가 있으면 등원할때 안 우는데 애착이 잘 형성되지 않아서 그런걸까요? 평소에 저없이 남편과 애기 둘만 있으면 아주 잘 있습니다
저희아이가 8개월인데 다른사람한테 뭔가전혀 낯가림이 보이지않고 잘 다가가요 울지도않구요 저랑 애착형성이 안된건지…자폐 초기인건지 제가화장실에 들어가서 문을 닫으면 울거든요…?이거는 애착형성이랑 관련이 없는건가요?
5개월2일 아기가 엄마에게서 떨어지려고 하지 않습니다 엄마가 안보이면 너무 우는데, 애착에 문제가 있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