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저하증과 부은 임파선, 6개월 뒤 재방문해도 괜찮을까요?
병원에 갔더니 갑상선 저하증은 왼쪽에 있고, 오른쪽은 임파선이 부었다고 하는데 수치보고 걱정할정도 아니면 6개월 뒤에 와서 보자고 하는데 임파선은 왜 부은건가요? 초음파보고 혹은 없다고했어요
병원에 갔더니 갑상선 저하증은 왼쪽에 있고, 오른쪽은 임파선이 부었다고 하는데 수치보고 걱정할정도 아니면 6개월 뒤에 와서 보자고 하는데 임파선은 왜 부은건가요? 초음파보고 혹은 없다고했어요
갑상선 저하증과 임파선 부음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갑상선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상태이며, 임파선이 부어오르는 것은 감염, 염증, 때때로는 더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어요. 의사가 수치를 보고 걱정할 정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면, 그것은 현재 상태가 급박하게 위험하지 않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겠으나, 정확한 상황은 경과를 꾸준히 관찰해 보시며 충분한 안내를 받아보시길 바라요. 초음파 검사에서 혹이 없다고 한 것은 좋은 소식이지만, 임파선이 부은 원인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사나 관찰이 필요할 수 있어요. 6개월 후 재방문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는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드려요. 또한, 갑상선 저하증의 경우 정기적인 혈액 검사로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해요. 임파선이 부은 원인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추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어요: 1. 혈액 검사: 감염이나 염증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영상 검사: CT나 MRI와 같은 추가적인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3. 조직 검사: 임파선의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더 정밀한 진단을 위해 검사할 수 있어요. 만약 현재 증상이나 건강 상태에 대해 불안하거나 의문이 있다면, 재방문 시기를 앞당기거나 다른 의사의 의견을 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건강 관리에 있어서는 자신의 몸을 잘 관찰하고, 변화가 있을 때 적극적으로 의료진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7개웡 아기 이유식에 백미 25g 현미 10g 오트밀20g 으로 두끼를 먹고있어요 백미 25에 잡곡 30인데.. 백미 대비 잡곡양이 너무 많았던거 같아 걱정인데 괜찮나요? 또 오트밀을 너무 많이 먹이면 철분 흡수를 방해한단 소리도 있고 하루섭취량이 정해져 있던데 20g 씩 두끼를 먹이면 안되는건지 궁금합니다..ㅠ 현미는 잡곡이란소리도있고 아니라는 소리도 있던데 .. 저렇게 먹어온게 문제가 될까요?? 백미 비율을 높이고 나머지 곡식 비율을 줄여야 할까요?
이유식 중 소고기 함량 계산 법 알려주세요. 7개월 아기 하루 순 한우 권장 섭취량이 15g인데 한우다짐 100g중에 실제 한우 투입량이 70g일때 몇 g을 이유식에 추가해야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울수있나요? 또한 한우다짐 120g중에 실제 한우 투입량이 50 그람일때 몇 그람을 이유식에 추가 해요. 하루 권장 섭취량을 채울 수 있나요?
질문건강검진 결과가 안 좋게 나왔는데 ..왜그럴까요? 20대 중반 남성, 170cm, 72kg이고 원래 마른 체형이고 살이 잘 찌지 않기에 (검사당시) 고탄수화물로 벌크업을 하고있었음. 주 5~6회 1.5시간 정도 고강도 근력운동 실시. 유산소 하지 않음. 물은 하루에 3L 가량 섭취 [영양제] 매일 종합비타민, 밀크씨슬, 오메가3, 아보다트 복용 가끔 몸 컨디션 안 좋을 때 하루이틀 정도 비타민C 메가도스 8g 정도 하기도 함. (1년에 3~4번 정도) [식단] 하루 3200kcal 이상을 4끼니에 나눠 섭취. * 탄수화물 500g 가량 섭취. 주로 현미밥,흰쌀밥,오트밀 등으로 섭취. 운동 직후에는 미숫가루 50g. 단순당류는 하루에 10g 미만 섭취. * 단백질 160g 가량 섭취. 주로 닭가슴살로 섭취. 검사 직전 1주일 동안 닭가슴살 대신 닭다리살 먹었음. 하루에 단백질바 1개 섭취. * 지방 60g 가량 섭취. 무가당 견과류로 섭취. 포화지방 가급적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