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월 아기의 고열과 해열제 복용, Crp염증수치에 영향을 미칠까요?
26개월 아기가지금목요일부터 고열인데 열이 최고는39.5도이고 해열제먹이면 38도때로떨어질때도있고 36.9정도로떨어질때도있고 그때그때 다른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중이염기가잇어서 22일부터 항생제복용중입니다 그리고 피검사시 항생제로 인해서 Crp염증수치가 낮게 나올가능성이많나요?
26개월 아기가지금목요일부터 고열인데 열이 최고는39.5도이고 해열제먹이면 38도때로떨어질때도있고 36.9정도로떨어질때도있고 그때그때 다른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중이염기가잇어서 22일부터 항생제복용중입니다 그리고 피검사시 항생제로 인해서 Crp염증수치가 낮게 나올가능성이많나요?
26개월 아기의 고열 상황에서 해열제를 복용하면 체온이 일시적으로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해열제는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복용 후 체온이 떨어지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그러나 체온이 얼마나 떨어지는지는 개인의 체질, 열을 유발하는 원인, 해열제의 종류와 용량, 복용 시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열제 복용 후 체온이 다르게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기의 탈수 상태, 환경 온도, 아기의 활동량, 해열제의 흡수 및 대사 속도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복용 중인 경우, 항생제가 염증을 치료하여 CRP(C-반응성 단백)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CRP는 염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염증이 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항생제가 중이염과 같은 세균 감염을 치료하여 염증을 줄이면, CRP 수치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CRP 수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서 올라갈 수 있으므로, 항생제 복용만으로 CRP 수치가 낮게 나온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아기의 고열이 지속되고 있다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의는 아기의 증상과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기 약을 처방받아왔는데 해열제는 따로 없고 항생제만 있어요 지금 열이 39도 이상 또 올라서 걱정인데 해열제를 따로 먹여도 될까요? 처방받은 약은 크란톨시럼(기침가래약) 페브로민에이시(비염약) 렉소팬정(소염진통제) 메틸론정(부신피질호르몬) 람노스산(정장제) 세클렉스건조시럽(항생제) 입니다
26개월 아기 고열2일째인데 혈액검사수치 CRP수치가 0.75인데 고열2일째에 혈액검사를했어요 그런데 중이염항생제복용중인데 혈액검사수치에 영향을줄수있나요?2일째에 혈액검사를해서 cRp수치가 낮게나온걸까요? crp수치가0.75라 입원은안해도된다해서 안했는데 아직도 고열이 나서요ㅠㅠㅠ그리고 리노엔테로바이러스가 검출되었어요다리에도 발진이 났구요 발진난거는 리노엔테로바이러스때문에 난걸까요?
17개월 아기 지속되는 고열로 crp검사 받으려고 하는데 12월8일부터 12월17일까지 항생제를 복용하였는데 오늘 검사하면 항생제로 인해 결과에 영향을 미칠까요? 항생제로 인해 정확도가 낮아지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