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두근거림증상과 부정맥 의심, 공황장애와 관련이 있을까요?
공황장애가 있습니다. 그런데 평소 가슴두근거림증상이 있어도 약을먹으면 괜찮아졌는데 약을 먹어도 특히 누워있을때(저녁이후 조용할때)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느낌이 온몸으로 느껴질 정도가 되니 불안감이 더욱 올라옵니다. 몇일전 심전도 검사에서 부정맥이 의심된다고 듣긴 했습니다
공황장애가 있습니다. 그런데 평소 가슴두근거림증상이 있어도 약을먹으면 괜찮아졌는데 약을 먹어도 특히 누워있을때(저녁이후 조용할때)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느낌이 온몸으로 느껴질 정도가 되니 불안감이 더욱 올라옵니다. 몇일전 심전도 검사에서 부정맥이 의심된다고 듣긴 했습니다
가슴 두근거림 증상은 공황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부정맥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심장이 빠르게 뛰는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가슴 두근거림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한 부정맥이 있는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을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고, 특히 누워있을 때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느낀다면, 이는 부정맥의 가능성을 더욱 강하게 시사합니다. 몇 일 전 심전도 검사에서 부정맥이 의심된다고 들으셨다면, 이는 심장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정보입니다. 공황장애와 부정맥은 서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순환기내과에 내원하여 진료 받기: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심장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검사(예: 24시간 심전도 검사, 심장 초음파 등)를 통해 부정맥의 유형과 정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2.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하기: 공황장애의 증상 관리와 치료를 위해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약물 치료 외에도 인지행동치료와 같은 심리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3. 생활 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응급 상황 대비: 가슴 통증, 호흡곤란, 의식 상실 등의 응급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부정맥과 공황장애 모두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제가 최근에 가슴 두근거림 증상과 숨이 차서 병원에 가보니 빈맥성 부정맥 일 수 있다고 합니다. 빈맥성 부정맥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
현재 18살 여학생이고 전에 15살 때 쯤 공황장애가 있었던 적이 있었지만 신체적인 약만 먹고 치료 후에 괜찮았다가 요즘 들어 저기 전 심장이 두근거리고 답답하고 갇힌 느낌이 드는데 부정맥이나 공황장애 아닐까 싶어 남겨봅니다
부정맥이랑 공황장애 차이점이 어떻게 되나요..? 저는 불안함을 느끼지 않는데도 가슴 두근두근 거리는게 크게 느껴집니다. 심박수를 재니 70에서 80사이 정도 나오는데.. 왜 이렇게 가슴이 두근거리는지 모르겠어요. 며칠전에 헬스장에서 크게 패닉이 오고난 후 뭔가 몸이 진정을 못하고 있는 것같아요.. 그때 심장이 엄청 뛰면서 숨조 못쉬고 피가 거꾸로 흐르는것 같은 증상을 느꼈어요ㅠ 정신과를 먼저 가야할지 내과를 가야할지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