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에 걸렸는데 10년 후 rpr검사하면 양성 나오나요?
만약에 매독에 걸렸는데 10년동안 모르고 지내다가 10년후에 rpr검사 하면 양성나오나요??
만약에 매독에 걸렸는데 10년동안 모르고 지내다가 10년후에 rpr검사 하면 양성나오나요??
매독에 감염되었을 경우, 치료를 받지 않고 10년이 지나도 RPR(신속 혈장 반응)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독은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잠복기에도 질병이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특이 항체검사인 FTA-ABS나 TPHA는 치료 후에도 음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장기간 양성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년이 지난 후에도 RPR 검사에서 양성이 나올 수 있으며, 이는 매독이 완치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매독은 자연치유될 수도 있지만, 이는 30-40% 정도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매독검사 RPR과 TPPA를 받으면 예를 들어 제가 10년전이던 15년전이던 매독에 걸려있었는데 치료를 받거나 치료를 받지 않거나 임상소견이 나오지 않거나 자각증세가 없이 몰랐다면 그래도 RPR과 TPPA검사에서 양성이 확실히 나오나요?? 아니면 너무 오래되고 증상도 없어서 매독에 감염되었어도 음성이 나올수 있나요? 검사결과는 두검사 모두 음성이 나왔지만 혹시 잠복기나 너무 오래된 매독이라 음성이 나올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매독검사 보건소에서 TPPA랑 RPR이 있는데 RPR에서 양성반응이 나와야지 TPPA검사를 하는건가요?
의심관계 이후 매독검사를 했습니다 10일차 결과- rpr정밀 Non-React ive (<1.00) 15일차 결과- rpr정밀 Negative 0.1 (<1.0 RPR Unit) 30일차 결과- rpr정밀 Negative 0.2 (<1.0 RPR Unit) 이렇게 결과가 나왔는데 궁금한거 몇가지좀 여쭤보겠습니다. 1. 10일차에는 Non-React ive로 떴는데 그 후에는 왜 수치가 나온걸까요? 2. 15일차보다 30일차에 수치가 0.1더 늘었는데, 그럼 저는 매독에걸려 항체가 생성 중인가요? 3. 매독에 걸린게 아니라면 어째서 항체가 나오는거죠? 나오지 않아야 정상 아닌가요? 4.30일차에 했던 검사의 신뢰도는 높은 편인가요? 그리고 매독에 감염되지 않았을 확률이 높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