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열 아기 오한 시 해열제 추가 복용해야 하나요?
31개월 남자아기 증상 어젯밤부터 38-39도 웃돌고 교차복용중입니다. 현재 잠은 잘자고 9시에 해열제복용했는데 자면서 오한이 오는지 끙끙대고 손,몸이 조금씩 떨리는 데 얇은이불 덮어주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깨워서 해열제 복용해야될지와 이불덮어주는것이 맞 는지 문의드립니다.
31개월 남자아기 증상 어젯밤부터 38-39도 웃돌고 교차복용중입니다. 현재 잠은 잘자고 9시에 해열제복용했는데 자면서 오한이 오는지 끙끙대고 손,몸이 조금씩 떨리는 데 얇은이불 덮어주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깨워서 해열제 복용해야될지와 이불덮어주는것이 맞 는지 문의드립니다.
AD
아기의 상태를 고려할 때, 현재 상황에서 추가적인 해열제 복용 여부와 이불 덮어주는 방법에 대해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해열제 추가 복용 여부: 아기가 9시에 해열제를 복용한 상태라면, 해열제의 종류에 따라 복용 간격을 지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은 46시간 간격, 이부프로펜(브루펜)은 68시간 간격으로 복용이 가능합니다. 만약 복용 간격이 지나지 않았다면 추가 복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오한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해열제를 추가로 복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체온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해열제 복용 간격을 늘리는 것이 좋다고 언급된 바 있습니다.
이불 덮어주는 방법: 아기가 오한을 느낀다고 해서 너무 두꺼운 이불을 덮어주는 것은 체온 조절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얇은 이불을 덮어주는 것은 적절하며, 아기가 땀을 흘리거나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열이 나는 상황에서는 옷차림을 가볍게 해주는 것이 좋다고 언급된 점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조치: 아기의 체온이 39도를 넘어서거나, 오한이 심해지고 끙끙대는 증상이 지속된다면, 깨워서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기가 의식이 흐려지거나 경련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이전 답변에서도 고열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될 경우 병원 방문을 권장한 바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아기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해열제 복용 간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태가 악화되거나 걱정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료진의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4개월 아기 어제 부터 고열 39도 좌우로 열이 아예 안 떨어져서 (해열제 먹여도) 오늘 오전에 병원에 가서 피검사했는데 염증수치도 낮고 항생제 먹을 필요가 없고 추가로 교차복용할수 있도록 해열제 하나 더 처방해줬는데요 열이 아예 안떨어져요 ㅠㅠ 계속39도 좌우 ~ 응급실 가바야 하나요 ㅠㅠ 병원에서는 오늘까지 지켜보고 내일 오전에 일찍 오도 된다고 했거든요 (밥도 잘 먹고 보채지는 않아요 )
7개월 아기 39도 까지 열오르고 해열제 10시 복용 4시간뒤인 현재 열은 미열수준이나 심한 오한 몸떨림 반복중입니다
18개월 아기 해열제 복용후 30분뒤 구토를 했는데 붉은색 해열제를 먹였는데 구토는 붉은색이 아주 극소량 나왔어요 현재 39도가 넘는 고열이 지속되는데 약을 추가로 복용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