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월 아기, 감기약 복용 후 땀 많이 나고 체온 36도, 괜찮을까요?
27개월 아기 감기약을 보름 정도 먹었는데요 ~오늘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체온도 36도 밖에 안되는데 괜찮을가요ㅠㅠ 아직 2틀 약 있어요 ~약 안에는 해열제가 없어요(항생제 기침가래약밖에 없습니다)
27개월 아기 감기약을 보름 정도 먹었는데요 ~오늘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체온도 36도 밖에 안되는데 괜찮을가요ㅠㅠ 아직 2틀 약 있어요 ~약 안에는 해열제가 없어요(항생제 기침가래약밖에 없습니다)
27개월 아기가 감기약을 복용한 후 땀이 많이 나고 체온이 36도인 상황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체온이 36도라면 정상 범위에 속하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몸이 열을 내보내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어요. 약의 종류에 따라서 식은땀이 나는 경우도 있지만, 항생제나 기침가래약이 직접적으로 땀을 많이 나게 하는 부작용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무기력해 보이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등의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어요. 현재 남은 약을 복용하는 것에 대해 걱정이 되신다면, 약을 중단하고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또한, 아기가 땀을 많이 흘릴 때는 옷을 자주 갈아입혀 주시고, 땀을 닦아주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해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4개월 아기구요. 50일쯤 코로나로 열이나 해열제 복용했고 2주뒤 2개월 접종으로 접종열이나 해열지 복용한 후 밤잠이 들면 체온이 35.8도까지 내려가더라구요. 낮에도 36도 초반이였구요. 한동안 그러다 밤잠 잘 때 36대로 올라왔는데 10일 전 쯤 4개월 접종 후 접종열이 났는데 해열제는 복용하지 않고 열이 내렸고 그 후 다시 밤잠을 자면 35.8도로 체온이 내려갑니다. 식은땀인지 땀도 많이 흘리고 몸이 차기도 했다가 다시 따뜻해지기도 하구요. 낮에는 36.8도 기초체온 나옵니다. 기초체온이 잘 때 35도대로 떨어지는거 괜찮은건가요?
5개월 아기인데 어제 밤에 체온이 38.7~8도까지 올라가서 새벽에 해열제 먹이고 체온이 내려갔습니다. 오늘은 오후 내내 37.2~3도 유지하긴했는데 내내 식은땀처럼 머리에 땀이 나고 오늘은 밤에 자면서 땀을 흘립니다. 젖은 옷은 갈아입히고 탈수 오지 않을까 수유하고 다시 재웠는데 괜찮은걸까요?? 지금 체온은 재보니까 36.1~2도 정도입니다.
22개월 아기입니다. 귀 체온 36도 인데 자면서 짜증내고 식은땀이 계속 납니다. 방온도 25도 습도 52프로 입니다. 저체온으로 가는거 같은데...이불을 덮어야 하나요? 시원하게 해줘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