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인대 손상 후 보호대의 적절한 조절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형외과에서 손가락 인대가 다쳐서 손가락보호대를 받았는데 보호대를 어느 정도 세기로 손가락을 고정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정형외과에서 손가락 인대가 다쳐서 손가락보호대를 받았는데 보호대를 어느 정도 세기로 손가락을 고정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손가락 인대 손상 후 보호대를 착용할 때는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혈약 순환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세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너무 느슨하게 고정하면 손가락이 움직여 인대 치유에 방해가 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세게 고정하면 혈액 순환 장애나 추가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손가락이 약간의 압박감을 느낄 정도로 고정하되, 손가락 끝이 창백해지거나 파랗게 변하거나, 저림, 통증, 붓기가 심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손가락 끝에 감각이 정상적인지, 체온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면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보호대를 착용한 후에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증상이 악화된다면, 즉시 의료진과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고정 방법이나 세기는 치료를 담당하는 정형외과 전문의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그리고 보호대를 착용하는 동안에는 손가락의 근력이 약해지거나 추후 움직이는 데에 다소 힘이 떨어질 수 있지만 빠른 시일 내 회복하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고정되어야 제자리로 뼈가 붙는 회복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어머님이 몇년전 종합병원에서 치매 진단 받으셔서 약을 드시고 계시는데 너무 멀어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 받고 약을 드시고 싶어합니다. 1. 이런 경우 가까운 병원에 내방하여 치매 약 처방 가능할까요?(가까운 병원에서 치매 검사 및 진단 없이. ) 2. 불가하다면 어떻게 하면 가까운 병원에서 치매약 처방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80세 아버님께서 전부터 가족들이 치매 의심 증상을 발견하고 치매검사소도 방문했지만 검사를 거부하시고 식사도 거르시고 한달이 조금 넘은 현재 갑자기 거동도 못하시고 상황에 맞지도 않으신 행동들과 말씀들을 하곤 하시는데 어떠한 방법들이 있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어떻게 대처하고 진단을 어떻게 받아야 할런지 너무 고민됩니다..
치매진단후 약복용을 거부합니다. 복용하지않은면 어떻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