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변비와 변이 멈춘 후 행동 변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설사를 해서 병원진료 후 약처방을 받고 약복용 후 설사가 멈춘 후 아기가 변을 이제 안보고 있어요.. 방구는 자꾸 끼는데 변을 안보고 힘은 계속 주는데 변비가 온건지 원래 한번 자면 쭉 자는데 새벽에도 깨서 눈 감은채로 온몸에 힘을 주며 울고 온몸을 뒤로 재치고 달래서 겨우 자워서 눕히면 다시 울고 변 못본지 2일째 입니다
설사를 해서 병원진료 후 약처방을 받고 약복용 후 설사가 멈춘 후 아기가 변을 이제 안보고 있어요.. 방구는 자꾸 끼는데 변을 안보고 힘은 계속 주는데 변비가 온건지 원래 한번 자면 쭉 자는데 새벽에도 깨서 눈 감은채로 온몸에 힘을 주며 울고 온몸을 뒤로 재치고 달래서 겨우 자워서 눕히면 다시 울고 변 못본지 2일째 입니다
설사 후 약을 복용하고 변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아기의 경우, 소화계가 성인보다 민감하여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변을 보지 못하고 불편해하는 증상은 변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기가 방귀는 자주 끼지만 변을 보지 못하고, 밤에 잠을 자지 못하며 통증을 호소하는 것 같은 행동을 보인다면, 소화기계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변비가 의심될 때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볼 수 있습니다: 1. 수분 섭취: 아기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수분 부족은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2. 식이섬유: 아기의 나이에 따라 적절한 식이섬유를 섭취하도록 해주세요. 이유식을 시작했다면,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소량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배 마사지: 아기의 배를 시계 방향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장 운동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4. 운동: 아기의 다리를 자전거 타듯이 움직여주어 장 운동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지속적으로 불편해하고, 변을 보지 못한 지 2일이 지났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약물 복용 후 증상이 나타났다면, 약물 부작용일 수도 있으므로 처방받은 약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아기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거나, 복통, 발열, 구토 등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기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8개월 아기입니다. 집에서 기어다닐때 위험한 주방에 못들어가게하면 짜증을 내고 약을 먹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빨고있어 뺏을때 짜증을 내는데, 이게 당연한 발달일까요 아니면 성격을 나빠지게 하는 걸까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엊그제 회를 시켜먹었는데 상태가 그냥 그랬습니다 근데 어제 변비마냥 변이 나오지 않다가 오늘 저녁에 속이 울렁거리고 설사도 하며 심한 복통이 있습니다 이 증상은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70일된 아가가 몇일전부터 변비증상을 보이다가 방금 변이 엄청딱딱하게 나오고 항문에서 피가 났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