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아기의 짜증과 위험행동, 발달 단계인지 성격 변화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8개월 아기입니다. 집에서 기어다닐때 위험한 주방에 못들어가게하면 짜증을 내고 약을 먹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빨고있어 뺏을때 짜증을 내는데, 이게 당연한 발달일까요 아니면 성격을 나빠지게 하는 걸까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8개월 아기입니다. 집에서 기어다닐때 위험한 주방에 못들어가게하면 짜증을 내고 약을 먹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빨고있어 뺏을때 짜증을 내는데, 이게 당연한 발달일까요 아니면 성격을 나빠지게 하는 걸까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8개월 아기가 짜증을 내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호기심이 많고 새로운 것을 탐색하려는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주방과 같은 위험한 장소에 들어가려 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만지려는 행동을 보일 수 있어요. 이는 성격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발달상태입니다. 아기의 안전을 위해 부모님이 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기가 기어다니는 공간을 안전하게 만들어 주세요. 위험한 물건은 아기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주방과 같은 위험한 장소에는 안전문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아기가 위험한 물건에 관심을 보일 때, 안전한 장난감이나 활동으로 관심을 돌려주세요. 예를 들어, 아기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주거나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아기가 위험한 행동을 할 때마다 일관되게 반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짜증을 내더라도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하고, 안전한 대체 활동을 제공하세요. 4. 아기가 안전한 행동을 할 때 칭찬해주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이렇게 하면 아기는 안전한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될 것입니다. 아기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대처해 나가시면 됩니다. 만약 아기가 숨을 참으며 창백해지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아 보인다면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기가 먹자마자 뱉어내게 될 경우 육안으로 보았을 때 삼키지 않은 정도라면 재복용이 필요할 수 있으며, 해열제 복용 이후에도 열이 떨어지지 않을 경우 응급실 또는 가까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8개월 아기가 최근에 이상한 버릇이 생긴 것 같아요 그런데 기분이 좋을 때 그러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눈을 찡긋 감고 발작하듯이 파닥거려요… 5초~10초 정도요 분유먹다가 장난감 흔들다가 갑자기 찡긋 하면서 장난감 떨구고 파르르 떨거든요 조금 더 지켜보고 병원 방문 필요할까요? 아니면 정상적인 아기 발달 과정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15개월 아기 발달 문의드립니다. 아기가 요즘 물건을 서랍 같은 곳에 숨겼다가 찾는 걸 좋아하는데 이 시기에 자연스러운 현상인가요?
설사를 해서 병원진료 후 약처방을 받고 약복용 후 설사가 멈춘 후 아기가 변을 이제 안보고 있어요.. 방구는 자꾸 끼는데 변을 안보고 힘은 계속 주는데 변비가 온건지 원래 한번 자면 쭉 자는데 새벽에도 깨서 눈 감은채로 온몸에 힘을 주며 울고 온몸을 뒤로 재치고 달래서 겨우 자워서 눕히면 다시 울고 변 못본지 2일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