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로 인한 118일 된 아이의 체온 조절이 어려운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118일 된 아이입니다. 지난주 감기 있어서 콧물나오고 열도 있고해서 약먹고 열은 다내렸고 콧물만 조금 있는 상태입니다. 이마에 열이 있어서 체온 을 재보니 한쪽 귀는 36.5도이고 반대쪽은 37.5도 열이 나는데 해열제 막이고 2시간 재우고나니 37도까지 내리긴 했는데 아직 미열이 있는 상태입니다.
118일 된 아이입니다. 지난주 감기 있어서 콧물나오고 열도 있고해서 약먹고 열은 다내렸고 콧물만 조금 있는 상태입니다. 이마에 열이 있어서 체온 을 재보니 한쪽 귀는 36.5도이고 반대쪽은 37.5도 열이 나는데 해열제 막이고 2시간 재우고나니 37도까지 내리긴 했는데 아직 미열이 있는 상태입니다.
아기가 감기 증상으로 체온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먼저 아기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해요. 아기의 체온이 높은 편이지만 해열제를 통해 다소 감소했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아기의 체온이 한쪽 귀에서 36.5도, 반대쪽에서 37.5도로 측정되었다면, 귀 체온계의 사용법을 확인하고 올바르게 사용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귀 체온계는 정확한 사용법을 따르지 않으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기의 체온은 환경 온도, 활동량, 옷차림, 아기가 울거나 먹은 직후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미열이 지속되는 경우, 아기를 편안하게 하고, 과도한 옷차림을 피해 체온이 자연스럽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할 수 있게 해주시는 것이 좋아요. 아기의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열제 사용에 대해서는 소아과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아기에게 해열제를 다시 투여하기 전에는 일반적으로 4-6시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됩니다. 하지만, 아기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아기의 상태에 변화가 없거나 악화되는 경우, 즉시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기의 건강 상태는 빠르게 변할 수 있으므로,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제 병원가서 감기 증상이있어 주사 맞고 약을 타왔으나 ㅇㅎ늘 새벽 오한과 고온이 너무 지속됩니다 너무 춥고 너무 뜨겁고 귀아프고 눈도 아파요 콧물도 많이 나요 머리도 아파요..
야자친구랑 관계할때 조절이 잘 안되고 금방 싸는데 어떻개 해야하나요 ?
3학년 여자아이인데요지금감기에 걸려서 약먹구 있는데요낮에는 열이 심하지않았는데요지금 자면서 머리는 뜨겁진 않은것같은데요 몸이 뜨거운데요어찌해야하나요? 해열제는 먹고잠들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