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에서 중고등 ADHD 검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정신과에서 중고등adhd검사는 어떤식으로 진행하나요??
정신과에서 중고등adhd검사는 어떤식으로 진행하나요??
중고등학생의 ADHD 검사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됩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칠 수 있습니다: 1. **초기 상담**: 환자와 부모님과의 면담을 통해 현재의 증상, 행동 패턴, 학업 성취도 등을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과거 병력, 가족력 등도 확인합니다. 2. **설문지 및 평가 도구**: ADHD 진단을 위해 다양한 설문지와 평가 도구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Conners' Rating Scales, ADHD Rating Scale 등이 있습니다. 이 설문지는 부모님, 교사, 그리고 학생 본인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심리 검사**: 필요에 따라 심리 검사를 통해 인지 기능, 주의력, 기억력 등을 평가합니다. 이는 ADHD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행동 관찰**: 학교나 가정에서의 행동을 관찰하여 실제 생활에서의 증상을 평가합니다. 교사나 부모님의 피드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종합 평가**: 위의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ADHD 여부를 진단합니다. 필요시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전문 정신과 의사의 지도 하에 이루어지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번의 방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ADHD가 의심된다면, 가까운 정신과를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검사 진행을 위해 부모의 동의가 필요할 수 있으니 보호자와 함께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현재 일상생활 문제로 정신과를 다니고 있는 28세 남성 입니다. 개인적으론 성인 adhd 라고 생각하고 정신과에서 상담과 검사를 진행했는데 이 검사결과로는 adhd 라고 판정 할 수 없다면서 항불안제를 처방해주셨습니다. 항불안제를 처방받고 좋아진 점도 있지만 원래 치료하려고 하는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인데 adhd는 오로지 검사결과로만 판단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ADHD 는 아니고 집중력 높여주는 약을 정신과에서 처방받아 먹고있는데 부작용으로 우울감 수면장애등이 있나요? 약이 안 맞는 건가요?
정신과에서 현재 adhd검사 받고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약이 너무 효과가 없어서 암페타민을 고려하고 있는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불법이라 식약처에 의사소견서와 함께 약물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신과에서 상담 이후 암페타민을 합법적으로 처방받을 수 있나요? 가능하면 처방받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