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정신병약물 복용 중 망상증세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항정신병약물(명인탄산리튬정, 리스페리돈, 올란자핀)을 2019년 4월 23일 ~ 2023년 6월까지 4년정도 한번도 빠짐없이 처방대로 복용했습니다. 그러던 중 2022년에 잠깐 망상증세가 있었다가 사라지고, 2023년 6월쯤 다시 망상의 정도가 과대져서 그로 인해 약물을 2주정도 안먹게 되고 입원을 하게 됬습니다. 약을 잘 먹는데도 망상이 생긴 이유가 궁금합니다.
항정신병약물(명인탄산리튬정, 리스페리돈, 올란자핀)을 2019년 4월 23일 ~ 2023년 6월까지 4년정도 한번도 빠짐없이 처방대로 복용했습니다. 그러던 중 2022년에 잠깐 망상증세가 있었다가 사라지고, 2023년 6월쯤 다시 망상의 정도가 과대져서 그로 인해 약물을 2주정도 안먹게 되고 입원을 하게 됬습니다. 약을 잘 먹는데도 망상이 생긴 이유가 궁금합니다.
AD
항정신병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망상 증세가 나타난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약물 내성: 장기간 동일한 약물을 복용할 경우, 몸이 약물에 익숙해져서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약물의 용량 조절이나 다른 약물로의 전환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약물 상호작용: 다른 약물이나 음식, 음료 등과의 상호작용으로 항정신병 약물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약물이나 음식은 약물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생물학적 변화: 신체의 생물학적 변화나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약물의 효과가 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수면 부족, 환경적 변화 등도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망상 증세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기저 질환의 변화: 정신질환 자체의 경과가 변하거나 다른 신체적 질환의 발생으로 인해 증상이 변할 수 있습니다.
2023년 6월에 망상 증세가 심해져서 약물을 2주간 복용하지 않았다면, 이는 약물의 효과가 감소하거나 중단되어 증상이 악화된 것일 수 있습니다. 약물을 중단하면 증상이 재발하거나 악화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약물 조절, 추가적인 치료 방법, 생활 습관의 변화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접 진료한 의사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확인은 불가하여 확답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내원하셔서 자세한 상담을 권장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공황적인 느낌, 강박적 사고, 불안함 등 특정 시간이 되면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약물에 의한 것인데요. 치료를 위해 약을 먹지만 증상을 이겨내야 합니다. 만일 다른 우울증 약으로 바꿨을때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거 같습다. 현재 항정신병약물을 복용 중이며 약물에 의한 증상은 뭐라고 설명하나요? 약을 안먹지 말아야하는 이유는 약을 안먹으면 망상이 존재해서 입니다. 환청은 없습니다. 원래부터.
만약 정상인이 항정신병약물을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항정신병 약물에 생기는 부작용 세로토닌 증후군, 수면제에 속한 벤조디아제핀을 먹으면 오히려 마음이 차분해지면서 좋아졌다.(6개월간 2023년 1월~6월달 까지 수면제 도움 받음.) 약을 먹으면서 부작용을 견디면서까지 치료를 하면 서서히 부작용들은 사라진다고 알고있다. 최근들어 다른 약물로 모두 교체했지만, 아직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다. 굳이 다른 약이 있는데 나와 관련된 조현병,조울증약에 속한 (명인탄산리튬,리스페리돈,올란자핀) 약을 초기부터 9년간 사용한 이유를 알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