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장애 의심돼요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진료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증상은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어요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진료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증상은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분노조절장애는 상황에 맞지 않게 분노를 폭발하는 증상을 말해요. 분노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면 기분조절제, 항경련제, 항불안제 등의 약물치료 또는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등 비약물적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어요.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은 꼭 질병이 있어야 방문하는 곳이 아니에요. 감당할 수 없는 분노로 누군가를 해할 것 같을 때, 스트레스 해소가 안될 때, 스트레스 상황,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법을 모를 때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해당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정신건강을 위해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다시 이용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경계선 성격장애가 의심되는데 고등학생 혼자 병원가서 진료봉수 있나요? 약물치료 하는건가요? 이게 맞는지 잘 모르겠어서 혹시 봐주실수 있나요
의존성 성격장애와 위축형 경계선 성격장애는 무슨 차이가 있나요? 연인 관계에서의 자해, 자살 시도, 과한 집착, 이별에 대한 극도의 불안, 관계 유지를 위한 비정상적인 행동 등은 위의 성격장애와 관련이 있나요?
청소년기 때 우울 증세로 약물치료를 받은 적이 있으며 당시 경미한 양극성과 성인 adhd 소견도 있었지만 관련해서 진단까지 받진 않았고 치료를 꾸준히 다니지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성인이 되고 알게 된 BPD의 경우가 제 행동패턴과 조금 더 밀접하다고 느껴 질문 드려요. 증상 - 감정기복(잦음), 분노, 자해(담배빵), 먹토, 사람에 대한 집착(소유욕X, 상대방 감정에 예민) 발현 이유랄만 한 또래 괴롭힘이나 가정 불화는 딱히 없었습니다. 다만 아기때 암에 걸려 몇 년 입원 치료를 했는데 당시 겪은 고통, 죽음에 대한 간접경험, 친밀한 관계의 부재 등이 지금 성인이 된 제게 이런 영향을 줄 수 있나요?(지금 신체는 건강) 제 행동의 그릇됨과 이로 인해 고통받는 분들을 이해하지만, 내원할 돈도 시간도 없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참고로 ENFP / 7w6 이며, 제가 사용하는 용어나 추측은 단지 정신병리학 스펙트럼에 관심이 많기에 남발하는 것이니 잘못 짚은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