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질문합니다.
질염 치료와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를 함께 진행했고, 오늘 가다실을 맞은 상태인데 팬티라이너 3분의1 정도를 차지하는 양의 갈색 혈이 비칩니다. 평소에 부정출혈이 잘 없는 몸인데 검사에 의한 단순 출혈인 걸까요 ㅠㅠ? 그리고 현재 경구피임약 복용 중인데 이 경우에는 복용을 중단 해야 하나요?
질염 치료와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를 함께 진행했고, 오늘 가다실을 맞은 상태인데 팬티라이너 3분의1 정도를 차지하는 양의 갈색 혈이 비칩니다. 평소에 부정출혈이 잘 없는 몸인데 검사에 의한 단순 출혈인 걸까요 ㅠㅠ? 그리고 현재 경구피임약 복용 중인데 이 경우에는 복용을 중단 해야 하나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부정출혈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누적, 생활 패턴의 변화, 면역력 감소, 다이어트, 호르몬제 복용으로 인한 호르몬 불균형, 자궁질환 등으로 부정출혈이 발생 할 수 있으며, 특히 자궁근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경부암, 난소암, 다낭성난소증후군, 골반염, 혈액응고장애 등의 질환으로 인한 출혈일 경우 증상만으로는 정확히 어떤 질환에 해당하는지 확답 드리기 어려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산부인과의 대면진료가 필요해요.
자궁 검진을 통해 건상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셨다면, 부정출혈의 발생 원인으로 질 내부 검사로 인한 상처발생으로 인한 출혈, 컨디션 변화로 인한 부정출혈, 경구피임약(호르몬제) 복용으로 발생한 소퇴성 출혈의 가능성이 있어 보이며, 가다실 접종과 부정출혈은 관련성이 적다 해요.
경구피임약 복용 후 발생한 부정출혈에도 경구피임약은 계속 복용하실 수 있으며, 출혈량이 많고 그 기간이 길어질 때에는 진료의와 상담하여 경구피임약 종류 변경, 중단에 대해 결정해 보아야해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만 2세 무렵까지 아기가 자다가 우는 일은 흔한 일이며,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8개월에서 18개월까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고 해요. 아이가 자다가 깼는데 아무도 없어서 무서웠던 경험을 한 번 하게 되면, 아이가 자주 밤에 깨고 울거나 잠들기 전에 무서워할 수 있어요. 안심하고 다시 잠들 수 있도록 배려해 주세요. 아이가 깨서 부모를 찾을 때 지체하지 말고 대답하고 아이 곁으로 가셔야 해요. 이렇게 노력하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다가 우는 버릇은 없어질 것이라고 해요. 질문을 답변은 잘 받았는데 아기가 자다깨면 곁으로 가라고 하셨는데 곁에 있다가 아기침대에서 나와서 어른침대로 가면 울드라구요 울어도 혼자 자는 법을 깨닫게 해줘야되는거지 계속 곁에 있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자나팜정 0.5 15일치 처방 받앗어요 아침에 1회 먹고. 필요시에 먹으면 된다고 하셨는데 전에 질문에서 2시간 간격이라는것이 커피먹고나서 2시간 간격인지. 약 끼리 2시간 간격인지 모르겟어요 1일 3회이면. 아침 점심 저녁일텐데 최소 몇시간 간격이 필요한가요? 아침10시에 먹고 필요시에 점심 12시에 먹어도 되나요?
혹시 그럼 통곡하며 우는데 범퍼침대라서 안전한데 울면서 목이 쉴까봐 안어 주는데 울다가 목이쉬거나 붓고 그럴수도 있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