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관련 질문
7개월된 남자 아이가 있는데 이앓이를 하는데 심한지 잠도 제대로 못자고 밥도 잘 못먹어요 ㅠㅠ 약을 찾아보니까 쿠팡은 해외배송으로 오래걸리는데 혹시 아이한테 쓸만한 약이 없을가요 ㅠㅠ
7개월된 남자 아이가 있는데 이앓이를 하는데 심한지 잠도 제대로 못자고 밥도 잘 못먹어요 ㅠㅠ 약을 찾아보니까 쿠팡은 해외배송으로 오래걸리는데 혹시 아이한테 쓸만한 약이 없을가요 ㅠㅠ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전후로 첫니가 올라오고, 생후 12~16개월에 어금니가 나오는데요. 잇몸이 부어오르며 발열감이 생기는 등의 증상은 보통 유치가 보이기 이전부터 시작되어 1~2개월 정도 지속될 수 있어요. 낮보다 밤에 유독 심하게 앓을 수 있는데, 낮 동안에는 여러 활동으로 주의가 분산되지만 밤에는 활동량이 줄어들며 더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인데요. 시원한 치발기를 사용하거나 부드러운 음식을 먹이는데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잘 먹지 못할 정도의 통증을 느끼는 원인이 다른 것에 있지는 않은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또한 해외 직구 등으로 많이 사게 되는 이앓이 연고 등은 국소마취제 혹은 진정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의사의 처방 없이는 사용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아요. 증상이 지속되신다면 앱 내 의료진의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유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아 진짜 더이상 힘들기 싫어요 정말.. 저번주 수요일 부터 너무 축 처지고 툭하면 눈물 나오고 그랬어요 근데 이제 2주차가 다되어 가니 이젠 슬픔 불안 초조 걱정 무기력 공허함이 존재해요… 근데 다들 우울증테스트 해보라해서 했는데 꽤 높아요.. 근데 시간이 지나면 또 우울한거 보다 공허함 불안이 커지고 해서 너무 이상해요.. 위클래스 갔는데 할려면 부모 동의있어야한다해서 그냥 여기에 털어봐요..
멍하고 아무런 감정이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어요. 무언가 슬픈데 눈물은 나지 않고 공허해요. 흉통 이명 두통 등등으로 신경안정제 먹고있지만 가끔 찌릿거리는 통증이 몸을 돌아다녀요. 가끔 행복한 감정이 들어도 다시 우울해지고 싶어요. 뭔가 제가 즐거워지는 게 죄책감이 드는 것 같아요. 하루하루가 무의미하고 쓸모없게 느껴져요. 벌써 이런 지가 2년인데, 저는 제가 우울한지도 모르겠어요. 불안증이라는데, 불안해서 우울한건지, 우울해서 불안한건지도 모르겠어요. 막연히 생각에 집착하고 그것을 곱씹고 곱씹고 하다 보면 하루가 지나가버려요. 그리고 의사들은 모두 사무적일까요? 제가 다니는 곳은 환자가 들어왔을 때 마우스만 만지고 얼굴을 보지가 않아요. 그것에 거슬리는 자신이 너무 한심한데, 그냥 제가 불안하고 외로워서 사람에 대해 쓸데없는 기대를 품는 것 같아요.
이명, 두근거림, 흉통, 명치 답답함으로 항불안제를 복용중인데 우울감도 신체화되고 있는 걸까요? 약을 먹어도 계속 멍하고 신체에서 동떨어진, 내가 내가 아닌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약기운과는 다른 느낌이에요.) 뭘 해도 마음 한 구석이 공허한 것 같아요. 울고 싶은데 너무 공허해서 눈물이 안 나와요. 피곤해도 억지로 자지 않고 과거를 곱씹고 자학하는 습관(나는 잠을 잘 자격이 없다, 나는 죽어야 한다)이 2년간 있어왔고 그러면서 신체증상이 점점 악화된 거 같아요. 진단명은 불안장애인데, 우울 점수가 10점으로 나와서(제가 세 문항 정도를 확신하지 못해서 축소된 걸 수도 있는 것 같아요.) 항우울제를 쓸 정도는 아니라고 들었는데 저는 항상 우울감과 분노를 꾹 누르고 지내는 기분이고, 감정의 이유는 알지만 더 이상 그 이유가 중요치 않고 그저 통증으로만 남아버린 것 같아요. 저는 계속 스스로에게 자학감을 가지는데, 과연 약물(항우울제) 없이도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