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장애 의심 증상, 범죄자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일까요?
몸에서 무언가 빠져나간 느낌 항상왔던 곳이 낯설고 불쾌한 감정드는데 뭐라고 설명을 할수가 없음 괜찮아 하다가 아니야 돌겠다 하다가 또 괜찮아 하다가 혼자 마음속으로 반복 대화하다가 침묵하고 그런상태 병원에선 해리장애가 의심된다고 하지만 해리장애는 인격장애 중에 반사회적 인격장애라 들었는데 그럼 범죄자가 가진 감정을 느끼는 걸까?
몸에서 무언가 빠져나간 느낌 항상왔던 곳이 낯설고 불쾌한 감정드는데 뭐라고 설명을 할수가 없음 괜찮아 하다가 아니야 돌겠다 하다가 또 괜찮아 하다가 혼자 마음속으로 반복 대화하다가 침묵하고 그런상태 병원에선 해리장애가 의심된다고 하지만 해리장애는 인격장애 중에 반사회적 인격장애라 들었는데 그럼 범죄자가 가진 감정을 느끼는 걸까?
해리 장애와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서로 다른 정신 건강 상태입니다. 해리 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감, 환경에 대한 지각 등과 같이 정상적으로 통합되어야 하는 성격 요소들이 붕괴되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며, 이러한 장애는 갑작스럽거나 점진적일 수 있고, 일시적이거나 만성적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 매우 충격적인 스트레스 사건이나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인해 나타납니다. 반면,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고 사회적 규범을 따르지 않는 행동 패턴을 특징으로 합니다. 해리장애가 의심된다고 들으셨다면, 이는 범죄자와 관련된 감정과는 무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리장애는 주로 개인의 내적 경험과 관련이 있으며, 범죄적 행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평가와 상담을 통해 더 명확한 이해와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해당 증상이 의심되고 많이 불안하신 상황이라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는 꼭 심각한 질병이 있어야만 방문하는 곳이 아니며,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 상황, 가벼운 우울증, 마음이 답답할 때, 감정조절에 어려움을 느낄 때,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 힘들 때에도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현재 대학병원 정신과 다니는 중 공황장애 우울증 진단 해리증상 의심중 공황장애 약을 다량으로 복용하고 있고 우울증 약도 복용하지만 공황장애약보다는 적음 해리증상은 호전할 수 있는 약이 없어서 혼자 견디는 중 졸림이 심해서 인지 아님 약 부작용인지 공황이나 해리의 증상인지 햇갈림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 눈이 앞쪽에 중심을 못잡고 노래를 듣거나 대화를 할때 소리가 웅얼거려서 재차 물어보게 됨 어떤것 때문일까?
가벼운 식이장애라고 자가진단할수 있는 범주는 어떤 증상이 있을때부터인지 궁금해서요. 폭식증이나 거식을 동반하고 있지는 않지만, 칼로리를 섭취하는데 두려움울 느끼고 배부르면 불쾌감을 느껴요 그리고 살이 찌는걸 두려워하는데 제거행위는 하지않고 그냥 불안감만 느끼는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가벼운 식이장애증상일까요 아니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일까요?(현쟈 정상체중입니다.)
정신과 약때문인지 아님 공황장애나 해리증상인지 멍하게 있는증상이 심해요 근데 엄마나 아빠가 보고 자꾸 정신차리라고 해서 그때마다 진짜 화가나거든요 멍한건 왜 이렇게 심한거고 이럴때 옆에 있는사람이 화내는게 맞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