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리드정과 오구멘틴의 전립선 침투력 차이는?
루리드정은 전립선 침투력이 제일 낮은 항생제인가요? 오구멘틴 보다 더 낮나요?
루리드정은 전립선 침투력이 제일 낮은 항생제인가요? 오구멘틴 보다 더 낮나요?
AD
루리드정(록시트로마이신)과 오구멘틴(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은 전립선 침투력에 차이가 있습니다.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인 루리드정(록시트로마이신)은 지용성이 높아 조직 침투력이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특히 마이코플라즈마나 클라미디아 같은 특정 병원체에 효과적이며, 하루 1-2회 복용으로 유지가 가능합니다.
반면 오구멘틴은 베타락탐계 항생제로, 일반적으로 전립선 조직으로의 침투력이 마크로라이드계보다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전립선은 혈액-전립선 장벽이라는 특수한 구조가 있어 많은 항생제의 침투를 제한하는데,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이 장벽을 통과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루리드정이 전립선 침투력이 가장 낮은 항생제는 아니며, 오히려 오구멘틴보다 전립선 조직 내 침투력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전립선염의 원인균과 환자 상태에 따라 약물 선택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2전립선 비대증 수술로 전립선 암 치료도 가능하나요? 전립선 비대증이 심해서 내시경으로 접근해서 수술한다고 그러시던데 전립선암도 있는 상태면 전립선 비대증 수술로도 암 치료까지 가능한가요? 아니면 전립선 비대증 수술해도 따로 전립선암에 대한 수술까지 해야하나요?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은 대부분 전립선 비대증 치료가 목적이라던데 전립선암의 경우에도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로 치료해서 완치하기도 하나요?
1. 전립선 비대증으로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전립선암도 의심된 상황이라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조직검사도 같이 했다던데 전립선암은 바깥부터 생긴다고 했나 안쪽부터 생긴다고 했나 그러시면서 이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만약 조직검사 결과 이상없다고 나오더라도 초음파로 들어가서 바늘로 찔러보는 조직검사를 다시 시행해야할 수도 있다던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시 시행하는 조직검사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초음파로 하는 조직검사로 해야 정확한 게 맞나요? 2. 전립선특이항원검사 수치가 높은데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로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 한 후 다시 검사했을 때 정상 수치라면 수치가 높은 게 전립선암이 원인이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이 원인인건가요? 3. 전립선특이항원 검사에서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하려고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후 다시 검사를 다시 했는데 만약 수치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거나 더 높아졌다면 전립선암일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