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기능저하증과 자율신경실조증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진단과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부신기능저하증이랑 자율신경실조증이랑 증상이 거의 유사하던데요 두개 차이는 뭔가요? 그리고 둘다 진단과 치료는 어떤식으로 하나요 제 증상이 지금 저 둘과 유사합니다
부신기능저하증이랑 자율신경실조증이랑 증상이 거의 유사하던데요 두개 차이는 뭔가요? 그리고 둘다 진단과 치료는 어떤식으로 하나요 제 증상이 지금 저 둘과 유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부신 기능부전이 만성인 경우, 전신 쇠약감과 무력증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요. 또한 오심, 구토, 식욕 변화로 인한 체중 감소, 저혈압, 저혈당증, 체모 탈락, 전신의 색소 과다 침착 증세가 나타나고, 음식을 짜게 먹는 증상이 나타나요. 급성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의 경우에는 식욕 감퇴, 오심 구토가 더 심해지고, 복통이나 발열이 있으며, 심한 탈수 증상과 전해질 이상, 쇼크, 심한 경우 의식 소실까지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진단으로는 혈액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데요, 전해질, 코르티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로 CT나 MRI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어요. 자율신경계 이상 시에는 내분비계와 더불어 자율신경계의 역할인 심혈관, 호흡, 소화, 비뇨기 및 생식기관의 기능이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땀이 나오지 않는 무한증, 누웠다 일어날 때 혈압이 과도하게 떨어지면서 어지러운 증상을 동반하게 되는 기립성 저혈압, 발기부전, 배변 기능의 이상, 모발 운동와 혈관 운동 반응의 소실, 실신, 동공 이상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되어요. 진단으로는 주로 혈압이나 실신 여부 등을 위주로 평가하게 돼요. 정확한 진단은 검사받으신 해당 병원에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고, 해당 전문의의 소견을 듣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 쾌차 바랄게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77길 17 (서초동) 14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