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주사와 약물을 복용 중인데, 찰과상으로 발등 봉와직염 진단 후 손등에 항생제 주사 맞았는데 왜 발등이 다시 붓고 쓰라리고 통증이 있을까요?
비대면으로 찰과상으로 인해 발등 봉와직염을 진단받고, 해외에서 주사와 약물을 복용중인데, 전일에 손등에 항생제 주사를 좀 맞았는데, 왜 찰과상으로 인한 발등이 다시 붓기도 하고, 좀 쓰라리고 통증이 있을까요?
비대면으로 찰과상으로 인해 발등 봉와직염을 진단받고, 해외에서 주사와 약물을 복용중인데, 전일에 손등에 항생제 주사를 좀 맞았는데, 왜 찰과상으로 인한 발등이 다시 붓기도 하고, 좀 쓰라리고 통증이 있을까요?
발등의 봉와직염이 다시 붓고 쓰라리며 통증이 있는 경우,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이 있습니다. 1. **항생제 반응**: 주사로 투여된 항생제가 해당 봉와직염에 효과적이지 않거나, 충분한 양이 발등의 감염 부위에 도달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에 대해 다르게 작용하므로, 감염을 일으킨 박테리아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2. **감염의 확산 또는 악화**: 처음 감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았거나, 항생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감염이 더 확산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감염이 더 심각한 상태로 진행되었거나, 항생제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 때문일 수 있습니다. 3. **알레르기 반응 또는 부작용**: 항생제 주사나 다른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부작용으로 인해 발등이 붓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약물에 대한 개인의 특이 반응일 수 있습니다. 4. **치료 후 정상적인 염증 반응**: 때때로, 감염 부위의 치료 과정에서 염증 반응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몸이 감염과 싸우고 있는 자연스러운 과정의 일부일 수 있으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해외에서 치료를 받고 계시다면, 가능하다면 현지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상태를 재평가 받고, 필요한 경우 치료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붓기, 통증, 발열, 붉은 반점의 확산 등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즉시 의료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감염이 심각해질 경우 추가적인 치료, 예를 들어 다른 항생제의 사용이나 수술적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질문자님의 상황이 입원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입원치료를 받아보셔야 함을 안내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해외에서 일주일전에 오토바이사고로 찰과상 입은 후 오른발에 봉와직염을 인지하고 저번주 일욜부터ㅜ항생제를 복용하고 월욜부터 항생제 주사를 맞기 시작했는데 오늘 안붓던 왼쪽발이 부었네요 아프진 않고 좀 간지러운데 이거 왜 그런건가요
리도카인 엄지 발등쪽 정맥주사로 마취하고 발보톡스 목요일날 맞았습니다. 붙여주는 거즈랑 반창고 금요일 낮에 떼고 저녁9시부터 왼쪽발은 괜찮고 오른발등 붓고 통증이 느껴졌고 시술한 마취통증의학과에 전화했더니 발붓는 환자들 종종 있다 온찜질하고 지켜보고 화욜내원 하라고 들었습니다. 무좀이 오른발에 원래부터 잇엇고 시술전에는 물집이 없엇는데 엄지발가락 옆 정맥주사한곳 1센치 거리에 물집이 지금 있습니다. 검색해보니 봉와직염 아닌가 해서 물어봅니다. 몸에 열은없고 발등이 뜨겁지는 않고 조금 빨간것 같고 붓기랑 통증이 있습니다 어제보다 오늘 발목쪽으로 붓기가 더올라왓고 심해졌습니다
따로 발을 다치거나 한 적도 없는데 발등이 붓고 아프고 발등 바로 위 발목 전면부분도 누르면 멍들었을 때 아픈 느낌처럼 아프네요.. 왜 이러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