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수치 증가로 암 발병 가능성 증가?
Psa수치 증가 작년에 psa수치가 0.87이었습니다 (탈모약 복용x) 올해 psa 수치가 4.75나왔습니다 (탈모약 복용중) 암일 확률이 높나요?
Psa수치 증가 작년에 psa수치가 0.87이었습니다 (탈모약 복용x) 올해 psa 수치가 4.75나왔습니다 (탈모약 복용중) 암일 확률이 높나요?
PSA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경우 전립선암뿐만 아니라 전립선염, 전립선비대증에서도 수치가 상승될 수 있습니다. 탈모약인 피나스테리드를 복용 중이시라면, 이 약물이 PSA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실제 PSA 수치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모약 복용 전후의 PSA 수치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년 대비 PSA 수치가 상승한 것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며, 이는 전립선암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다는 것은 아닙니다. 젊은 연령에서 PSA 수치가 높은 경우 바로 전립선암을 의심하기보다는 다른 요인들을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비뇨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추가 검사가 필요한지 체크하는 것이 우선일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전립선 초음파, MRI, 생검 등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0대 발병 증가추세인 암에 난소암이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전립선 psa 수치가 1.45로 1년2개월 전 0.74에 비해 많이 증가되었습니다. (4년전쯤엔 0.26) 정상범위여도 증가 추세가 보이면 안좋다던데 추가 검사를 받아 봐야 할까요? 일시적요인(사정, 변비 등)에 의해 높아 질 수도 있나요?
1.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가 나에게 유전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볼 수 있을정도로 낮나요?아니면 높나요?3차관계에 포함돼도요? 2.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가 나에게 유전되는 경우는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나요? 3차관계인데도요? 3.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가 나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봐도 되나요?3차관계인데도요 4.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로 인해 나의 암 발병확률이 증가하지는 않나요?3차관계인데도요? 아니면 증가하나요? 5.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로 인해 나의 난소암 발병확률이 증가하지는 않나요? BRCA 변이가 없는 사람과 난소암 발병확률은 동일한가요? 3차관계인데도요? 딱 저 BRCA변이 유전만 고려하면요 6.3차관계에 포함되는 4촌의 BRCA 변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만큼 나에게 유전될 확률이 낮나요? 3차관계인데도요?아니면 높나요?신경쓰지 않아도 되나요? 각각 답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