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급성 세기관지염 후 어린이집 등원 가능할까요?
21개월 아기 10월21일에 38도여서 병원에서 수액맞았는데요 의사선생님이 상세불명의 급성 세기관지염 재발성 상세불명의 급성 편도염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결장염 이라고 하네요 23일엔 36도로 정상으로 돌아왔네요 다음주에 어린이집 가도 됄까요?
21개월 아기 10월21일에 38도여서 병원에서 수액맞았는데요 의사선생님이 상세불명의 급성 세기관지염 재발성 상세불명의 급성 편도염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결장염 이라고 하네요 23일엔 36도로 정상으로 돌아왔네요 다음주에 어린이집 가도 됄까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소아청소년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21개월 아기의 건강 상태가 걱정되셨을 텐데, 이제 열이 정상으로 돌아와 다행입니다.
급성 세기관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염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등원 여부를 결정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발열 여부: 아이의 체온이 37.5도 이상 올라가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질문자님의 아이는 현재 열이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하셨으니 이 조건은 충족된 것 같습니다.
증상의 호전: 기침,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이 눈에 띄게 호전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편도염, 위장염 증상도 함께 호전되었는지 살펴보세요.
전반적인 컨디션: 아이가 평소처럼 활동적이고, 식사와 수분 섭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열이 내리고 48시간 이상 지났으며, 증상이 크게 호전되었다면 어린이집 등원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기침이 심하거나 콧물이 많이 나는 등 증상이 뚜렷하다면, 다른 아이들에게 전염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조금 더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의 건강관리 지침도 확인해보시고, 필요하다면 담임 선생님과 상담하여 등원 가능 여부에 대해 구체적인 조언을 받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어린이집 교사입니다. 저희반 아이가 바이러스성 두드러기라는 소견을 받앗는데 전염성이 있는 질환일까요? 어린이집 등원 가능한가요?

35개월 아이 올해 3월부터 어린이집을 다니기 시작했고 어린이집 다니면서 부터 모세기관지염, 장염, 목염증, 폐렴이 걸렸었어요. 처음 모세기관지염이 다 낫고 나서 부터 아이가 아프지도 않은대 수시로 37.7~37.8도를 왔다갔다 하는대 어디 문제가 있는걸까요? 최근 감기가 살짝와서 약먹었는대도 미열이 안 떨어져요.. 병원에 가면 건강하다는 말만 나와요..

신생아 시절부터 잔기침?을 하긴했는데 그냥 대수롭지 않게 넘겼거든요 열도 안나고 컨디샨도 좋아서 근데 찾아보니 아기 급성기관지염은 아가 컨디션이 좋아도 걸린 아가들이 많도라구요..? 글고 엑스레이로 염증 확인이 가능하대서요ㅜㅠ 최근 외출이 좀 잦긴했고, 아직 하루에 기침 4-5번은 해요.. 그리고 몇일 전 부터 좀 묽은변을 봤는데 .. 병원가보는게ㅜ좋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