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 후 3개월 비급여진료, 2월 18일 보험처리 가능한가요?
라식 후 3개월동안 비급여진료라고 병원에서 그러던데 2월 17일이 딱 3개월째 되는 날이면 2월 18일에 진료시 보험처리 되는 건가요?
라식 후 3개월동안 비급여진료라고 병원에서 그러던데 2월 17일이 딱 3개월째 되는 날이면 2월 18일에 진료시 보험처리 되는 건가요?
라식 수술 후 일정 기간 동안은 의료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기간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개월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1개월 후부터 보험 적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2월 17일이 라식 수술 후 3개월째 되는 날이라면, 2월 18일부터 보험 처리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병원의 정책이나 보험사의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을 받으신 병원이나 보험사에 직접 문의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으로 보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라식 후 안구건조 ipl레이저 치료 받았는데 보험사에서 라식에 의한 비급여 진료라 보상이 어렵대요. 라식 3개월 후 급여진료로 건성안증후군 코드 받으면 보험사에서 딴지 걸지 않고 보상해줄까요?
조만간 라섹 수술을 앞두고 있습니다. 관련 정보를 찾아보니 수술 후 3개월 간은 인공눈물이 비급여로 처방된다고 하더라구요. 이때 다른 항목들도 비급여로 수납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1. 디쿠아스, 레스타시스, 리포직 등 인공눈물 외 안구건조증 치료제도 비급여 대상인가요? 2. 알러지 안약, 스테로이드 안약 등 안구건조증 이외의 안구 질환 치료제도 비급여 대상인가요? 3. IPL 등의 시술은 본래 비급여이나 실비 보험 처리가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때 시력교정수술 후 실비 보험 처리가 제한되나요?
라식후 4개월이 지났고 시력이 떨어져 해당 병원에 방문하였습니다 건조함이 원인 같다고 하셧고 안구건조증 치료 점안액과 인공눈물을 처방해주셨는데 비급여라 약값만 145,000원(이 나왔습니다 1. 3개월 지난 후부터 급여처리 가능하다던데 다른 병원가서 진료보면 안구건조증 치료가 급여처리 되나요? 2. 그게 된다면 일부 인공눈물을 환불받고 싶은데 처방약은 환불안된다는 글을 봤습니다. 완제품(인공눈물)인데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