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으로 인한 혈변과 흑변, 빈혈 관련 진단과 치료 방법은?
크론병으로 4/28 혈변과흑변어지러움 호소함 >입원했고 5/2 까지계속 hb수치가 9.6 , Hct 수치가 27.7 정도인데 이건빈혈이라고봐야하나요? 작년 7월부터 간헐적으로 혈변과흑변을호소하시긴했는데 1) 이게 빈혈로이어질수도 있는건가요? 2) 4/28 VBGA 검사를 했을때 o2 세츄레이션이 32.4로 매우낮았는데 이건 위장관계출혈로 인한 저혈량성쇼크를원인으로 봐야할까요?
크론병으로 4/28 혈변과흑변어지러움 호소함 >입원했고 5/2 까지계속 hb수치가 9.6 , Hct 수치가 27.7 정도인데 이건빈혈이라고봐야하나요? 작년 7월부터 간헐적으로 혈변과흑변을호소하시긴했는데 1) 이게 빈혈로이어질수도 있는건가요? 2) 4/28 VBGA 검사를 했을때 o2 세츄레이션이 32.4로 매우낮았는데 이건 위장관계출혈로 인한 저혈량성쇼크를원인으로 봐야할까요?
크론병으로 인한 혈변과 흑변, 그리고 빈혈은 크론병의 일반적인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장의 어느 부분에서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혈변과 흑변이 간헐적으로 발생했다면, 이는 장 출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될 경우 철분 결핍성 빈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철분은 주로 장에서 흡수되는데, 크론병으로 인한 장의 염증이나 손상은 철분 흡수를 방해하여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4월 28일에 실시한 VBGA(Venous Blood Gas Analysis) 검사에서 O2 세츄레이션이 32.4로 매우 낮았다면, 이는 심각한 산소 포화도 저하를 의미하며, 위장관계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저혈량성 쇼크는 심각한 출혈로 인해 혈액량이 감소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5월 2일까지의 Hb(헤모글로빈) 수치가 9.6g/dL, Hct(헤마토크리트) 수치가 27.7%라면, 이는 일반적으로 빈혈로 간주됩니다. 성인 남성의 경우 Hb 기준 13.5g/dL 이상, 여성의 경우 12.0g/dL 이상이 정상 범위로 여겨지며, Hct는 남성의 경우 약 41-50%, 여성의 경우 약 36-44%가 정상 범위입니다. 진단과 치료 방법: - 진단: 크론병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신체 검사, 혈액 검사, 대변 검사, 내시경 검사,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치료: 크론병의 치료는 염증을 줄이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약물 치료(예: 스테로이드, 면역 조절제, 생물학적 제제), 영양 관리, 때로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빈혈이 있는 경우, 철분 보충제나 비타민 B12 주사 등을 통해 빈혈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입원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필요한 경우 수혈이나 기타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최선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현재 크론병으로 작년 7월부터 혈변을 호소했습니다.소론도정 복용중이었고요 혈변이 철결핍성 빈혈로까지 이어졌고 4/28 요검사결과 소변색이 진한 노란색,요비중이 1.033 VBGA 검사결과가 O2세츄레이션 32.5 가 나왔습니다. 이것의 원인은 철결핍성빈혈로인한탈수일까요? 또한 BUN 수치도 5.2 였는데 이건 왜이런걸까요 소론도정복용 때문일까요
1)크론병환자 아밀라아제 수치 감소(31)와 AsT수치감소(7),요검사시 유로빌리노겐 2검출,요검사시 케톤 10검출은 신장결석과 경화성 담관염으로 갈수있는 위험이 있다고 말할수있나요? 아니라면 원인이나 어떤질병으로 갈수있는 위험이 있는건지 설명부탁드려요 2) 크론병환자(철결핍성빈혈도있고 혈변도봄) 요비중이 1.033인데 철결핍성 빈혈로인해 탈수가와서 이런걸수도있나요? 아니면 단순히 혈변때문에 혈류량이 감소해서 인가요?
크론병,철결핍성 빈혈 진단받았는데 엽산수치가 3.69로 낮았어요 왜이런거죠? 원래 철결핍성 빈혈이면 엽산수치가 낮아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