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검사 결과 해석이 궁금한가요?
검사결과 해석해 주세요 아침채혈 Acth 183 (63.3까지 정상) Dhea s 327 (255까지정상) 코르티솔 24.4 (26까지정상) 아침 오버나이트dst 코르티솔 0.84 코르티솔 (소변) 60.7 (75.3까지정상) 복부ct부신종양x
검사결과 해석해 주세요 아침채혈 Acth 183 (63.3까지 정상) Dhea s 327 (255까지정상) 코르티솔 24.4 (26까지정상) 아침 오버나이트dst 코르티솔 0.84 코르티솔 (소변) 60.7 (75.3까지정상) 복부ct부신종양x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검사 결과에 대해 많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검사 결과상 일시적이거나 비특이적인 스트레스성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ATCH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부신을 자극해 코르티솔을 생성하게 하는 호르몬으로 현재 183이시라면 매우 높은 상태를 뜻합니다.
이는 뇌하수체 혹은 다른 장기의 이소성 ACTH 분비 가능성을 뜻해요.
정상보다 높으신 상태로 부신 외부 원인으로 인한 코르티솔 자극이 의심되는 상황입니다.
DHEA-S는 부신에서 분비되는 약한남성 호르몬으로 ACTH 자극에 따라 함께 증가할 수 있어요.
ATCH 증가의 간접적인 증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며 스트레스 대응과 혈당 조절, 면역 억제 등의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에요.
아침 채혈 기준으로는 약간 높을 수 있으나 일시적인 스트레스, 불면, 운동으로 인해 상승될 수도 있습니다.
오버나이트 DST는 밤에 덱사메타손을 복용한 후 다음날에 코르티솔이 얼마나 억제되는지 확인하는 검사에요.
1.8 μg/dL 이하이면 쿠싱증후군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변 내 24시간 코르티솔 검사는 24시간 동안 배출된 코르티솔의 양을 측정해 1일 총 코르티솔의 분비량을 평가하는 검사에요.
현재 정상 범위내로 일상적인 코르티솔의 생산이 과하지 않음을 뜻합니다.
마지막으로 복부 CT 상 부신 종양이 없었다면 부신 자체의 종양성 질환은 없다는 것을 뜻해요.
종합해보면 현재 질문자님은 쿠싱증후군과 같은 기능성 부신 질환일 가능성은 낮으며 ACTH, DHEA-S의 상승은 일시적이거나 비특이적인 스트레스성 반응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걱정하시지 마시고 혈액 검사를 통해 추적관찰하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다만 ACTH 수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체중 증가, 피부 얇아짐, 근력 약화와 같은 증상이 동반될 시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진료와 추가 검사를 시행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 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만으로 오해하기 쉬운 쿠싱증후군 증상부터 원인, 진단, 치료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집에서 셀프소변검사 해봤는데 무슨 병이있는지 궁금해서요 살짝 어둡게 찍히긴했는데 혹시몰라서 하나로는 불량이있을수있으니 3개 테스트 해본거거든요 현재 질염 살짝있구 치료중에있어요 최근에 방광염이있었더래서 2~3주전에 약 먹었었구 지금은 다 나은 상태입니다 비중은 어쩔땐 초록 어쩔땐 주황 막 왔다갔다하네요
폐경전이고 만39세입니다 이번에 난소암검사를했는데 로마수치 16.6 CA125 15.9 HE4 73.1로 로마수치만 정상 11.4에 비해 높아 고위험군으로 나왔습니다 초음파상 자궁근종 2.4센티있고 난소에혹은 말씀안하셨어요 염증이 심한상태라고하셨는데 높게나올수도있을까요ㅠ
의심관계는 1년 3개월 전 쯤이고 1년 넘게 아무 증상 없다가 8일부터 헤르페스 의심 증상처럼 발열,따가움,허벅지 수포 등 올라와서 9일 산부인과에 가서 헤르페스 혈청검사(채혈검사)를 하고 오늘 결과가 나왔습니다. 모두 다 음성이 나왔긴 한데 헤르페스 2종 igm이 평균 20이지만 7점으로 약간 높게 나왔습니다. 다른건 다 1점이 높지 않은데요. 그리고 igm은 최근 감염인걸로 아는데 의심 관계 1년 전 말고는 관계 한적은 없습니다. 혹시 잠복기가 1년 넘게 였다가 증상이 발현한 이후에 igm과 igg가 올라가는 건가요…? 제가 알기로는 초기 감염 igm이 뜨고 그 후에 igg 수치가 올라가는걸로 알아서 1년뒤에 증상이 나타나도 혈청검사를 하면 igg가 높게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꼭 증상이 발현 한 후에 수치가 나오는 건가요? 의사선생님께서 1년 후에 받은거면 음성이라고 보면 된다고 하는데 igm 수치가 쫌 높은 것 같아서요 ㅜ 한번 더 혈청검사를 한번 더 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