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봉합했던 부위의 현재 양상으로 인하여 걱정이 되시는 상황인 것 같아요.
사진을 보면 봉합했던 부위가 약간 부풀어 있고, 흉터 조직이 남아있는 모습이에요. 피부색 변화나 심한 발적, 고름, 심한 부종 등은 보이지 않아 급성 감염의 징후는 없어 보이지만, 사진만으로는 내부 조직 상태까지 정확히 알 수 없을 것 같아요.
봉합 후 현재 상처는 다 아물었지만, 손가락을 굽힐 때 봉합 부위 안쪽에 통증이 남아 있다는 점은 비교적 흔한 증상이에요. 봉합 부위에는 흉터 조직이 남게 되는데, 이 흉터 조직이 신경이나 힘줄 주변에 생기면 움직일 때 당기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 또한, 봉합 과정에서 미세 신경이 손상되었거나, 흉터가 신경을 자극하는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런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는 수개월 이상 지속되기도 해요. 손가락 부위는 특히 움직임이 많고, 피부 아래로 신경, 힘줄, 인대 등이 복잡하게 지나가기 때문에 봉합 후에도 감각 이상, 뻣뻣함, 통증, 저림 등이 남을 수 있어요. 만약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손가락이 잘 안 움직이거나, 감각이 둔해지거나, 상처 부위에 붓기, 열감, 진물 등 염증 증상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후유증이 아니라 힘줄, 신경, 관절 등 추가 손상이나 감염 가능성도 생각해야 해요.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권유한 이유는, 겉으로는 괜찮아 보여도 힘줄이나 신경, 관절 내부에 미세한 손상이나 유착, 염증, 혹은 다른 이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초음파 검사는 손가락 내부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통증의 정확한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증상이 악화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이 크다면 시간을 내어 추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로는 온찜질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상처가 다 아물고 급성기가 지난 시점에서는 온찜질을 하면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조직 회복과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단, 너무 뜨거운 온도는 피하고,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수건으로 감싸서 사용해야 해요.
만약 온찜질 후에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거나, 오히려 붓기나 열감이 심해진다면 즉시 찜질을 중단하고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다시 한번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정리하면, 현재 증상은 봉합 후 흔히 남을 수 있는 흉터 조직, 신경 자극, 연조직 유착 등으로 인한 후유증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여요.
만약 증상이 악화되거나 불편감이 계속된다면 초음파 등 추가 검사를 통해 해당 부위의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