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면장애에 수면제와 멜라토닌 중 무엇이 더 효과적인가요?
어렷을때 부터 입면장애가 엄청심해서 최근에 수면제처방받아서 먹고있는데 이전보다는 많이 나아지긴했는데 여전히 입면에 들이 힘든데요.. 지인이 멜라토닌처방받아서 먹는데 잠이잘온다고해서요 입면장애일경우 수면제와 처방받는 멜라토닌 중 어떤데 더 도움이 되나요?
어렷을때 부터 입면장애가 엄청심해서 최근에 수면제처방받아서 먹고있는데 이전보다는 많이 나아지긴했는데 여전히 입면에 들이 힘든데요.. 지인이 멜라토닌처방받아서 먹는데 잠이잘온다고해서요 입면장애일경우 수면제와 처방받는 멜라토닌 중 어떤데 더 도움이 되나요?
AD
입면장애에 대해 수면제와 멜라토닌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는 개인의 상태와 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수면제는 주로 뇌의 신경 활동을 억제하여 빠르게 잠들 수 있도록 돕는 약물로, 입면장애가 심각하거나 단기간에 빠른 효과가 필요한 경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내성이나 의존성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멜라토닌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멜라토닌 보충제는 주로 생체 리듬이 깨진 경우(예: 시차 적응, 교대 근무 등)에 효과적이며, 의존성이나 내성의 위험이 적고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멜라토닌은 수면제처럼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현재 수면제를 복용 중이라면, 멜라토닌으로 바로 전환하기보다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장기적으로 안전하지만, 입면장애의 원인이 생체 리듬 문제와 관련이 없을 경우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면제를 계속 복용하면서 멜라토닌을 추가적으로 시도해보는 방법을 의사와 상의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수면제를 줄이고 멜라토닌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낮 시간 동안 햇빛을 30분 이상 쬐어주는 것이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팔과 다리를 내놓고 햇빛을 받는 면적이 넓을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이와 함께 규칙적인 수면 시간 유지, 전자기기 사용 줄이기, 카페인 섭취 제한 등 수면 위생을 개선하는 것도 입면장애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불면증때문에 가끔 멜라토닌 복용했는데 확실히 처방받는 수면제가 효과가 좋더라고요. 스틸녹스였던듯해요. 미국에서 사온 멜라토닌 (나트롤 10mg)은 먹으면 잠이 올때도 안올때도 있어요. 의존성이 생기지 않는것도 중요하다고 보는데 멜라토닌이 의존성이 덜 한 편인가요? 밤낮이 바뀌는 일을 일주일에 한두번 하고 있는데 이럴때면 다음 2-3일은 잠 들기가 어렵더라구요.. 매일은 아니고 이럴때만 생활루틴 돌리기 위한(?) 용도로 먹을만한게 수면제인지, 아니면 약한 멜라토닌을 자주 먹는게 나을지 조언 부탁드려요.
이중 항불안제나 수면제와 함께 먹으면 안되는 약이 있나요?
수면제를 먹고 깨고 단시간 안에 술을 마시면 빨리 취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