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인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거 성병인가요?? 언제부터 났는지 잘 모르겠긴 한데 어느순간 보여서 불안하네요 곤지름이나 헤르페스 같은거일까봐 ㅠㅠ 딱히 배뇨통이나 성기주변 통증이나 뭐 별다른 증상은 없습니다

이거 성병인가요?? 언제부터 났는지 잘 모르겠긴 한데 어느순간 보여서 불안하네요 곤지름이나 헤르페스 같은거일까봐 ㅠㅠ 딱히 배뇨통이나 성기주변 통증이나 뭐 별다른 증상은 없습니다
성관계를 할려는데 삽입할때 아픈거 참고 그냥 했는데 귀두를 덥고 있는 껍질이 벗겨지면 안될곳까지 벗겨진 거 같아요 그래서 하고나선 피나고 다음날은 진물이 났어요 어떻게 해야하죠? 그리고 그부분쪽 껍질이 좀 불어있는? 거 같아요 비뇨기과 말고 집에서 치료할 방법은 없나요?
편의점에 들러서 물품을 구매하고 계산을 하고 거스름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 알바생이 한 손으로 거스름돈을 주고 또 한 손으로 내 손등을 쓸었습니다 1분 20초 후 손등을 보니 손등에 상처가 나있고 피가 응고가 되어 피딱지가 되어 있었습니다. #1. 제가 상기 사실을 인지한건 해당 사안이 있은 후 1분20초 가량 후입니다 이떄 피가 응고가 되어서 딱딱해졌습니다.. 만약에 주사바늘을 꼽았고 피가 나왔다면 해당 시간 1분20초만에 혈액이 응고가 될 수 있을런지요? #2. 그리고 대략 6일간 해당 부근에 피딱지가 생겼습니다. 만약에 주사바늘에 찔렸다면 어디 까지고 피딱지가 생긴 것 처럼 피딱지가 생성이 되는 것 인지요? #3. 대략 그 시간은 10초 ~ 20초 정도 였는데 이때 따끔하거나 그런것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사바늘이나 주사등을 숨기려면 자기 손가락두께정도에 감추어야 하는데 제가 놀래서 그 손을 보니 그런건 없었던 것 같은데 괜찮은건지요
비뇨기과에서 방광염으로 세균검사를 받았는데 이게 요배양검사랑 같은거 인가요..? 특별한 세균이 없다던데 그럼 방광염이 왜 걸럈을까요ㅠㅠ
비뇨기과에서 세균검사를 받았는데 이게 요배양 검사 인가요?
비뇨기과에서 세균검사를 받았는데 이게 소변배양검사 인가여? 아님 다른 검사인가요?
안티러캡슐 세파클러수화물은 어떤성병에 사용되나요
비뇨기과에서 전립선비대증과 과민성방광 증세로 듀오다트와 텔로딘을 복용하고있는데, 병원처방외에 카리토포텐을 같이 복용하면 증세에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1.고위험군 hpv가 감염될 수 있는 비성적인 경로는 뭐가 있나요?최대한 많이 알려주세요 보고된 내용은 다 알려주세요 2.그리고 그런 비성적인 경로의 고위험군 hpv감염(저위험군 제외)은 얼마나 드문건가요?얼마나 드물어요?
고위험군 hpv가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되는건 얼마나 드문 일인가요? 얼마나 드물어요?
고위험군 hpv 가 비성적인 경로로도 감염된다니까 너무 무서워요 반박좀해주세요
1.고위험군 hpv는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되지 않는다고 봐도 되나요? 2.성적인 경로로만 감염된다고 봐도 되나요? 3.성경험이 없는 사람은 고위험군 hpv 보균자가 아니라고 보는편이 맞나요?
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없다고 봐도 되나요?
비성적인 경로로의 고위험군 hpv 감염은 거의 없는 일이라고 봐도 되나요?
고위험군 hpv의 비성적인 경로로의 감염은 얼마나 희박한건가요?비의료인이라 잘 몰라요 고위험군 hpv는 일반적으로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하셨는데 잘못된건가요?
고위험군hpv가 비성적인 경로로 드물게 감염되기는 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비성적인 경로로의 감염은 불가능하다는거 아닌가요?
고위험군hpv는 비성적인 경로로 감염되지 않나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다고 하셔서요 성적인 경로로만 감염되나요?
고위험군 hpv가 아스쿠스와 자궁경부이형성증을 일으키는 건가요?저위험군 hpv는 안 그러나요?
제가 11월 7일에 임질이 의심되어 비뇨기과에 방문했어요. 제 증상은 요도구멍에 하얀고름 같은 것이 껴서 비뇨기과에 갔어요. 그리고 11월 11일에 매독판정을 받아서 다시 내원하여 페니실린주사를 맞고 혈액검사를 했어요. 그런데 문제는 11월 11일부터 요도구멍이 하얀 고름같은 걸로 반이 막혀서 소변볼때마다 요도구멍이 따끔거립니다. 그래서 다음날에 다시 내원하여 의료진에게 임질이 의심이 된다고 했지만 임질이 아니라고 하셨어요. 매독에 감염되었다고만 하셨구요. 사실 제가 지금 겪고 있는 증상이 임질과 같은 증상인데 매독에 감염된 경우에도 임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건가요? 아니면 매독과 임질이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나요? 현재, 저는 매독판정을 받고 페니실린 주사 후 항생제를 복용하고 있어요. 그러나 요도구멍이 하얀고름같은 거로 들러붙어 떼어지지 않아요.... 소변 시 늘 고통이 있어요.
아버지께서 전립선약을 드시고 계신데, 최근 5일전 뇌혈관이 좁아지셔서 신경과 약을 드십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소변이 안나오신다고 하셔요. 예전에도 한번 이렇게 소변이 안나오셔서 고생하셔서 그런지 놀라시네요ㅠ 약을 한번에 같이 드셔서 그러신것 같다고 하시는데...약의 상호작용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