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복용 후 요의 감소, 비뇨기과 방문 필요할까요?
어제부터 목감기때문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를 처방 받아 복용하고 있는데요 어제부터 요의가 잘 안 느껴지고 소변량도 현저히 적어지고 줄기도 약해졌는데 비뇨기과에 가봐야될까요? 물도 먹는양도 늘려봤는데도 평소보다 훨씬 양이 적어요.

어제부터 목감기때문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를 처방 받아 복용하고 있는데요 어제부터 요의가 잘 안 느껴지고 소변량도 현저히 적어지고 줄기도 약해졌는데 비뇨기과에 가봐야될까요? 물도 먹는양도 늘려봤는데도 평소보다 훨씬 양이 적어요.
소변을 너무 자주싸서 소변이 투명색인데 계속나와여 이럴때 포카리같은 전해질음료가 도움이될까요?
콜대원이랑 방광염약인 네프신을 같이 복용해도 되나요?? 좀 전에 콜대원을 복용했는데, 방광염 증상이 있는 것 같아 약응 먹어야 할 것 같아서요
고2입니다. 정계정맥류가 의심되어 비뇨기과에 갔더니 약간의 정계정맥류가 보인다 하더라구요. 그리고 지금 초음파 할 필욘 없다며 나중에 통증이 심해질때 종합병원 가라고하던데 지금도 좀 통증 심한 것 같은데 가야하나요 그리고 비뇨기과 선생님이 제 고환을 좀 세게 만지셔서 그런건지 진료 받은 후 고환이 걸을때마다 욱씬거립니다.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는 건가요?
헤르페스 검사를 해보려 하는데 소변검사랑 피검사 둘 다 하는 걸 추천하시는데 둘다 해야하나요? 차이가 뭐에요?
남자친구가 헤르페스 1형 진단을 받아 저도 피검사해보려 하는데 이 경우 보험적용 받을 수 있나요? 비급여로 들어가나요?
2형 헤르페스 성기에 수포가 좁쌀보다 더 작게 생겨서 병원에 갔더니 이정도는 괜찮다고 굳이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지켜봐도 된다고 했습니다. 다음날 되니깐 수포 여러개가 커져서 다시 병원에 갔더니 이렇게 수포가 올라왔을때는 약을 써야한다면서 처방해주셨습니다. 근데 문제는 수포가 커지면 흉터가 생깁니다. 그래서 지금도 초기 증상처럼 좁쌀보다 작은 수포가 올라오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때 약을 먹는게 좋을까요? 이 시기때는 약을 얼마나 먹어야하나요? 초기에 먹으면 수포가 안생겨서 나았는지 아직 덜 나았는지 모르는거 아닌가요? 초기에 약을 한두번 먹고 수포가 안커지면 약을 적게 먹어서 내성이 생기거나 하는건 아닌가요?
목감기 때문에 관리하느라고 요즘 자기 전에 따뜻한 물을 많이 마셔서 그런지 자다가 깨서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네요.(새벽 포함 하루 약 7~11회정도) 따뜻한 물을 많이 마셔서 화장실을 자주 가는 경우 빈뇨 증상으로 진단할 수 있나요?
와상환자로 CIC를 시행하고있습니다. 어제 저녁부터 소변이 꽉차면 도뇨할때까지 머리가 아프다고합니다. 몇일전 휴가로인해 4일정도 폴리카테터를 사용했고 집에와서 제거했는데 소변양이나 불순물같은건 없던데 혹시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을 의심할수있을까요?여성입니다
포경 수술하고 2일 정도 지났는데 물집 같은곳에 충격이 가해졌는데 몇 시간째 출혈이 안막혀요
중2인데 아직 포경은 안했습니다 표피를 두르고 있는 상태에서 소변을보면 1줄기로 나오는데 표피를 까고 싸면 항상 소변이 2줄기로 나옵니다 왜그런걸까요
중2학생입니다 평상시에는 소변이 잘 나오는데 자위하고 사정을 한뒤 소변을 보면 처음 나올때 잘 안나옵니다 근데 나오기 시작하면 잘 나옵니다 왜이린거죠
안녕하세요 헤르페스2형 같은경우 12주 피검사 음성이면 전혀 걱정하지않아도 된다고 하던데 맞나요? 그리고 걸리더라도 2형은 성관계 아닌이상 일상생활에서 가족이나 친구한테 전염시키는 경우는 0에 수렴한다고 의사분이 그러던데 그런건 걱정 안해도 되죠?
성병인지 확인가능한가요 인터넷 찾아보니 진주양 음경구진이랑 비슷한거 같아서요 통증 간지러움 그런거 하나도없습니다
1주차부터 7주차까지 매주 실시한 헤르페스 2형 혈액 검사에서 igm igg가 모두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현재 54일차에서 특별한 수포나 병변은 없는 것 같습니다만, 허리가 얼얼하면서 항문이 따가운 느낌과 멍이든거 같은 묵직함이 한달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헤르페스라면 수포 전조증상일 수 있으나 한달째 지속되는건 다른 이유일까요? 혈액검사를 매주 한 이유가 igm igg 수치를 추적 관찰하기 위함이었고 초기 상승하는 igm이 7주 연속 음성인 것과 igg또한 낮은 수치로 변동이 없는 음성인 결과를 신뢰해야 하는데, 의심 증상이 너무 많습니다. 요도 끝 간질거림 및 얼얼하고, 방광 표면이 따갑고 살이 당기는 느낌이 있고 거의 6주째 요도까지 아프니까 걱정이 많습니다. 전립선염 명목으로 항생제를 6주가량 복용하고, 시프로플록사신을 4주째 혈관으로 투여받는데도 차도가 없네요. 치료를 받기 전 방문한 두군데 병원에선 전립선염도 아니라 했는데 헤르페스인지 어떤 검사를 더 해야할지 답답합니다
요로결석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을 23일 오후에 진행했습니다. 원래 20일내원하여 ct확인후 요로결석 시술예약을하고 집으로 왓는데 급심한 통증으로 다시 입원하여 24일 퇴원했습니다. 1.23일 시술시행 후 돌은 바로 나오나요? 2.24일 퇴원후 24일저녁 다시 극심한 통증이 있은 후 아직 왼쪽옆구리가 조금 아픈데 시후 후 혈뇨는 나왓고 지금은 혈뇨가 나오지 않습니다. 돌도 나왓는지 알수가없는데 안 나올수도 잇나요?
포피소대 쪽이 계속 벌어져서 재봉합을 했는데도 계속 벌어져요 어떡하나요?
관계후에 일주일 뒤에 소변검사, 피검사 했을때 음성이고 12주 뒤에 소변검사 피검사 음성이면 결과의 신뢰도가 어느정도일까요?
베트남여행에서 성관계를 햇는데 모르는상대였습니다 hiv랑 매독이 너무 걱정되서 잠도안오고 음식도 잘안넘어가는데 관계 끝나고 바로 증상이 나타나나요? 음식때문인건지 가려움증이 조금 있습니더 3일바께 안되엇습니다 상대방의 감염여부는 모르겟습니다 걸랄확률이 높을까요?? ㅠㅠ
고환이 수축하면 통증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