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고환 통증 2주 전부터 있어, 원인이 뭘까요?
2 주 전부터 왼쪽 고환 통증이 약간 있습니다

2 주 전부터 왼쪽 고환 통증이 약간 있습니다
관계 며칠 안 됐는데 사진처럼 무엇인가 보여졌습니다.원래 있던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통증이랑 증상은 아예 없습니다. 상대방과 본인은 관계가 처음이었고 구강성교는 세, 네번 정도 됐습니다 두 번째 사진에서 짜봤는데 짜지지는 않고 나중에 보니 1번 사진 처럼 되었습니다 헤르페스2형일까요 아니면 단순 자극으로 인한 반응일까요
갑자기 귀두에 이런게 나타났는데 이게 뭐에요? 성병인가요? 통증이나 그런거는 없습니다
똥꼬가 가렵고 조금씩 아파요. 하루에 처음 화장실 갈땐 안아픈데 두번째 가면 아픕니다. 빨간피도 좀 나와요.
성기털 부근에 뾰루지 물집이 하나 났는데 아무 느낌이 없습니다 헤르페스 검사는 12주때 음성 나왔는데 헤르페스는 아니겠죠
오줌 색깔이 하얗고 노랑이 같이 나오고 꼬리뼈랑 아랫배가 아파요.그리고 오줌이 마렵지만 안나와요
요도염에 걸렸었다가 저는 완치가 되었고, 여자친구가 같은 균이 검출이 되어 약을 복용 중인데 콘돔을 착용하고 관계를 가져도 될까요? 재발의 위험이 있을까요?
몇주 전에 축농증에 걸렸는데 약을 먹고 난 뒤로 잘만 되던 발기가 잘 안 되는 느낌이에요
1주차부터 8주차까지 매주 실시한 헤르페스 2형 혈액 검사에서 igm igg가 모두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현재 55일차에서 특별한 수포나 병변은 없는 것 같습니다.igg수치는 25기준 0.4입니다. 다만, 허리가 얼얼하면서 항문이 따가운 느낌과 멍이든거 같은 묵직함이 한달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헤르페스라면 수포 전조증상일 수 있으나 한달째 지속되는건 다른 이유일까요? 혈액검사를 매주 한 이유가 igm igg 수치를 추적 관찰하기 위함이었고 초기 상승하는 igm이 7주 연속 음성인 것과 igg또한 낮은 수치로 변동이 없는 음성인 결과를 신뢰해야 하는데, 의심 증상이 너무 많습니다. 요도 끝 간질거림 및 얼얼하고, 방광 표면이 따갑고 살이 당기는 느낌이 있고 거의 6주째 요도까지 아프니까 걱정이 많습니다. 전립선염 명목으로 항생제를 6주가량 복용하고, 시프로플록사신을 4주째 혈관으로 투여받는데도 처음보다 많이 호전되었지만 통증니 여전하여 답답합니다. 헤르페스 가능성은 이제 없겠죠?
요로결석 증상으로 이틀정도 아팠어요. 어젠 소변에 살짝 핏기도 있었구요. 어제 비뇨기과들이 문을 닫아서 못가고 가정의학과에서 진통제 주사랑 약을 먹고 지금은 아픈건 없어졌는데요. 그래도 병원엔 가봐야겠죠? 통증이 있어야 가는건지 모르겠어서요. 전에 심할때는 체외파충격술 받았고 덜 아팠을땐 그냥 소변으로 나올때까지 기다려보라고 했었어서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제가 지금까지 구강성교나 삽입성교는 안했고, 단순 키스(딥키스 포함)하는게 처음입니다. 몸도 비볐습니다. 특히 성기랑 엉덩이요.. 위의 사례면 hpv 등 성병이 발생하나요??
헤르페스2형인가요? 4일전에 낯선이와 관계를 가졌고 현재 고열과 두통 피로감이 있어요 성기 윗부분에 작은 좁쌀같은 것들이 생겼습니다 사진상으로 헤르페스2형의 가능성이 보이나요? 혹시 헤르페스가 아닌 다른 병으로 판단이 되시나요?
남자친구가 헤르페스1형 진단을 받아 저도 피검사해보려고 하는데요 저는 딱히 증상이 없어요 그래도 치료가 가능한가요? 제가 알고 있기론 증상이 나타난 부위를 국소치료하는 거로 알고 있는데, 증상이 없는 경우듀 항바이러스제를 먹어야 하는건가요?
어제부터 목감기때문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를 처방 받아 복용하고 있는데요 어제부터 요의가 잘 안 느껴지고 소변량도 현저히 적어지고 줄기도 약해졌는데 비뇨기과에 가봐야될까요? 물도 먹는양도 늘려봤는데도 평소보다 훨씬 양이 적어요.
소변을 너무 자주싸서 소변이 투명색인데 계속나와여 이럴때 포카리같은 전해질음료가 도움이될까요?
콜대원이랑 방광염약인 네프신을 같이 복용해도 되나요?? 좀 전에 콜대원을 복용했는데, 방광염 증상이 있는 것 같아 약응 먹어야 할 것 같아서요
고2입니다. 정계정맥류가 의심되어 비뇨기과에 갔더니 약간의 정계정맥류가 보인다 하더라구요. 그리고 지금 초음파 할 필욘 없다며 나중에 통증이 심해질때 종합병원 가라고하던데 지금도 좀 통증 심한 것 같은데 가야하나요 그리고 비뇨기과 선생님이 제 고환을 좀 세게 만지셔서 그런건지 진료 받은 후 고환이 걸을때마다 욱씬거립니다.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는 건가요?
헤르페스 검사를 해보려 하는데 소변검사랑 피검사 둘 다 하는 걸 추천하시는데 둘다 해야하나요? 차이가 뭐에요?
남자친구가 헤르페스 1형 진단을 받아 저도 피검사해보려 하는데 이 경우 보험적용 받을 수 있나요? 비급여로 들어가나요?
2형 헤르페스 성기에 수포가 좁쌀보다 더 작게 생겨서 병원에 갔더니 이정도는 괜찮다고 굳이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지켜봐도 된다고 했습니다. 다음날 되니깐 수포 여러개가 커져서 다시 병원에 갔더니 이렇게 수포가 올라왔을때는 약을 써야한다면서 처방해주셨습니다. 근데 문제는 수포가 커지면 흉터가 생깁니다. 그래서 지금도 초기 증상처럼 좁쌀보다 작은 수포가 올라오기 시작했는데, 이 시기때 약을 먹는게 좋을까요? 이 시기때는 약을 얼마나 먹어야하나요? 초기에 먹으면 수포가 안생겨서 나았는지 아직 덜 나았는지 모르는거 아닌가요? 초기에 약을 한두번 먹고 수포가 안커지면 약을 적게 먹어서 내성이 생기거나 하는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