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와 반응 저하, 감기기운이 있는 상태에서 어떤 전문의를 찾아야 할까요?
현재 혀안쪽이 마비된거 마냥 발음이 살짝 뭉게지고 왼쪽팔 반응이 조금 둔해졌습니다. 3일 정도 이런상태가 유지되고 있고 살짝 감기기운도 있슴니다. 이경우에는 어디로 가야하나요

현재 혀안쪽이 마비된거 마냥 발음이 살짝 뭉게지고 왼쪽팔 반응이 조금 둔해졌습니다. 3일 정도 이런상태가 유지되고 있고 살짝 감기기운도 있슴니다. 이경우에는 어디로 가야하나요
건강검진 전날에 회 먹어도 되나요?
움직임이 좀 없으면 밥 먹고 속 울렁거리고 계속 트름 나올 수 있나요?
셀리악병이 의심이 되는데 검사하는 방법이 어떻게되나요? 조직검사를 하나요?
손가락 습진치료법 쫌가르쳐주세요
선생님 수면내시경하려고 했지만 마취투여해도 마취가 안되는경우도 있나요? 그런경우 어떻게?
당뇨로인한 인슐린주사 투여시 오래되면 살이 찌나요?
독감B형 6일차인데, 어지러움이 너무 심해요 열도없고, 감기 증상도 다 괜찮아졌는데 어지러움이 낫질 않습니다. 내내 어지러움이 있긴했는데 오늘 유독 심각성을 느껴서 문의 남겨요.. 원래 이렇게 심하지 않았는데, 오늘 갑자기 화장실에 갔다가 볼 일을 보는 도중에 얼굴이 하얗게 질릴 정도로 갑작스레 몸에 소름이 끼치는 기분이 들고, 식은땀이 흐를 정도로 많이날 정도로 어지러움이 심했어요. 가까스로 침대로 몸을 이끌어 1시간정도 잠에 드니 얼굴색은 돌아왔는데 어지러움은 계속 있어서 내일 출근이 너무 걱정됩니다.. 혹시 독감약 부작용인가 싶어 오늘 하루종일 약을 먹지 않았는데도 낫질 않아요 ㅠ 밥도 챙겨먹었고 물도 충분히 마셨는데 뭐가 문제인걸까요.. 뒷목도 함께 뻐근합니다.
목이 꽉막힌기분이고 몆일동안 기침을 계속해요
야즈 복용을 1년했는데 간수치가 너무 높아요 작년 1월부터 했어요 그리고 작년 9월에 건강검진하고 이번달에 피를 뽑았어요 근데 약 3개월만에 간수치가 확 올랐어요 ast 155>207 alt 133>309 r-gtp (정상) 이럴수가 있나요? 참고로 제가 2019년도에는 ast although 모두 60미만이었어요
비소성폐암 4기 환자 입니다 오른쪽 가슴이 너무 아파요
아침 나절 토하고 메스껍고 오한이 들다가 이제는 몹시 졸린 것 외에는 증상이 없습니다. 밥도 잘 먹고요. 이틀 전 굴을 먹어 노로바이러스인지 염려되는데 설사는 하지 않습니다. 설사하지 않아도 노로바이러스일 수 있는지 여쭈어 봅니다.
간기능검사도 종류가 10가지가 넘는다고 하는데요. 혈액검사로 간 해독작용 기능이 잘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면 간 기능검사 중 어떤 검사로 파악 가능 할가요?
안녕하세요. 심장이 아무것도 안해도 심장이 뛰는느낌하고 소리가 들려요. 심장이 어떨 땐엔 빠르게 뛰다가 느리뛰어요. 그리고 심장주변에 물건같은거를 올려놓으면 뛸때 좀 움직이네요.
제가 평소 혈압이 높고 떠는 성격이라 중요한 발표가 있을 때마다 인데놀은 한정씩 먹었는데요.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발표가 있어 처방받고 싶습니다.
1주일동안 열이 떨어지질않습니다. 증상은 고열, 두통, 약간의 근육통, 오한 입니다 기침 가래 콧물 인후통은 없습니다. 코로나 독감 모두 음성입니다. 가는 병원 모두 몸살감기약만지어줍니다. 원인을 알고싶은데 어디를가야할까요. 개인적으로 과음 후 아팟는데 간이나 위쪽이의심됩니다. 혹은 음식을잘못먹은건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바다장어) 도와주세요 ㅜㅜ
안녕하세요 34세 남자입니다 총빌리루빈수치가 1.6으로 높아서 복부초음파를 받았는데 간엔 문제없고 담낭에 3mm 용종이 있다고해서 내일 대학병원으로 의견얻으러가는데 처음 발견한곳에선 6개월 뒤에 추적검사해보자고 하는데 보통 제 나이또래에 담낭용종이 쉽게 발병되는건가요? ㅠ 당장 내일 병원가기전부터 무서워서요
의심 성관계하고 몇개월 뒤에 에이즈 검사 해야하나요?
남자친구가 몇일전부터 자다가 토를하는데 처음엔 그냥 자다가 토하고 그랬는데 오늘은 갑자기 자다가 숨이막혀가지고 기침을한건지는 모르겠는데 자다가 큰기침을하더니 갑자기 토하면서 숨막히고 토를한후엔 오른쪽가슴이 아픈지 만지고 그러는데 큰병은아니겠죠..? 남친말론 위약넘어온거같다곤하는데..ㅠㅠ
임신 14주차 임산부입니다. 임신전부터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데, 임신하고나서 더 심해지는거 같은데 먹을 수 있는 약이 있을까요? 그리고 산부인과를 가야할까요 내과를 가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