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한쪽에 갑자기 난 트러블, 원인은?
어제 갑자기 오른쪽 뒷목에 트러블? 뭔지 모르겠는데 났어요 ㅠㅠ 간지럽진 않고 이쪽만 나는 데 이게 뭘까요 제가 등드름이 좀 있긴한데 이렇게 목 한쪽에만 갑자기 나는 건 처음이에요 피부과 가보면 좋을까요?

어제 갑자기 오른쪽 뒷목에 트러블? 뭔지 모르겠는데 났어요 ㅠㅠ 간지럽진 않고 이쪽만 나는 데 이게 뭘까요 제가 등드름이 좀 있긴한데 이렇게 목 한쪽에만 갑자기 나는 건 처음이에요 피부과 가보면 좋을까요?
트로나인크림이 얼굴에도 발라도 될정도로 스테로이드등급이 낮은 크림인가요?
뷰러 한번 했다하면 속눈썹이 여러개가 엄청빠지고 진짜 모가 얆고 약해요 이럴땐 어떤 속눈썹영양재를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접촉피부염 치료중이고 붉은기도 많이 가라앉았는데, 얼굴에 열이 오르거나 더우면 피부염이 있는 부분이 붉어져서 가라앉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 피부염이라서 원래 그런건가요?
발톱무좀 발톱이 두꺼워지고 자르면 부서지는데요 엄지발가락이랑 새끼 발가락 이 두꺼움 네일아트에서 정리는하는데 고치고 싶어요 ㅠ.ㅠ
어느순간 손바닥에 곪은게 있어서 짰었는데 한 이주 지나니 피가 고여서 꾹꾹 눌러보면 누르는 압력은 느껴지고 엄청 아프진 않은데 병원가서 진료를 받아야 할까요?
어제 브라질리언 왁싱을 했는데 치구 쪽에 여드름처럼 작게 여러 개 났는데 에스로반 발라도 되나요?
갑자기 등과 손등에 검은 반점이 생겼습니다 아프지는 않고 증상은 딱히 없습니다 등 반점은 한달정도 된고 같아요
7세 때부터 아토피성피부염으로 치료와 관리를 해오고 있습니다 현재는 41세 이고요, 25년 전부터 더모베이트(베타베이트) 를 1년에 1~2번 연고 15g, 액 50~60ml 를 처방받아 사용하고, 필요할 때만 조금씩 바르고 있습니다. (약이 세서 함부로 많이 바르면 좋지 않다는걸 알고 있습니다) 평소에는 로션, 바세린 등으로 관리하다가 가려움이 올라오고 불긋불긋해질 때에만 하루 이틀 바르는 식인데요,, 비대면 진료로도 급여 처방이 가능한가요??
작년 10월에 헤르페스 2형 진단을 받고 성기쪽에만 나다가 한 달 전에 입술에 수포가 올라왔어요. 그래서 아시클로버 연고를 계속 발라줬었는데 부작용 생각을 못 하고 계속 바르다보니 피부염이 생긴 것 같습니다.. 빨갛고 간지럽고 피부가 벗겨지기도하고 그러는데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귀 안쪽과 뒤쪽에 심한 가려움을 느낍니다 다른 약들은 일시적으로 가려움을 가라앉히긴 하나 금새 각질이 생겨 더 가렵습니다. 데타손이 그나마 효과가 있는데 처방이 가능할까요?
아이 손가락 오톨오톨 생겻는데 뭘까요 이번주 월요일에 다녀왓는데 수두 수족구 아니라고 가려운거 빼고는 없는데
고양이, 강아지를 키우는데 고양이, 강아지 알러지가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를 먹은지 몇달 내지 1년은 됐는데 항히스타민제를 먹고 24-48시간이 지나면 몸이 가렵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 증상이 알러지로 인한 것이 아니라 항히스타민제 단약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나요? 최근 기사에 미국 FDA에서 씨잘, 지르텍과 같은 항히스타민제의 단약이 심각한 가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나와있습니다.
발가락을딴신발오랜만에 물집났셔요.터지는놔요.아니면그냥놔두면돼요.
팔 왁싱 후 모낭염으로 인해 엘엠리 로션을 바르다가 에스로반을 발랐습니다. 가장 노란 피지? 같은 건 다 괜찮아졌는데 사진처럼 붉게 올록볼록 올라온 것들이 안 없어집니다
자궁근중수술로 자궁2/3 절제 상태이며 호흐몬제15년 이상호르몬제 복용중이며 갱련기증상 없으며 현재기미가 심합니다 60대입니다 호르몬제 그만 먹고 기미약 처방받아서 치료 받으면 좋아질까요 담당의사는 호르몬제 그냥 먹으면 생활이 편하고 여러 치매등등 예방이라고 하시는데 그냥 먹는게 크게 나쁠것 없는데 나이들어 생기는 질환예방이라고 하심니다 저는 불편이 없읍니다갱련기도 없습니다 호르몬제 그만 먹고 기미처방약을 받아야 치료 받으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사타구니 사이에 비대칭 점이 생겨 고민인 유학생입니다. 사타구니의 점을 보니 혹여 흑색종의 결절성 흑색종과 유사해 보여 질문드립니다. 따로 가려움이나 출혈은 없지만 비대칭이며 크기는 1cm이하입니다. 현재 한국을 방문할 수 없는 상황이라 흑색종의 유무를 떠나 다른 의심되는 질병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현재 해당 점때문에 걱정에 잠이 안오네요
어제 오후 12시경에 벌레에 물렸는데 어떤 벌레인지는 못봤어요.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간지럽고 따갑더니 오늘 이렇게 퉁퉁 부어오르기 시작했어요. 물린 곳을 기점으로 수포같은 것도 올라오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타구니에 검은색 돌출형 비대칭 점이 생겼는데 혹시 흑색종의 한 종류인지 의심됩니다. 따로 가려움이나 출혈은 없으며 크기는 6mm 이하인 것 같습니다.
털을 뽑다가 레이저 제모를 받을라고 하는데 뽑은지 몇주가 지나야지 레이저 제모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