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눈 앞머리 피부 건조 원인은?
12살 아이 눈 앞머리? 라고 하나요, 눈머리쪽 피부가 건조해보이고 까실가실한 살이 살짝 일어나 있고, 빨간데, 왜 그런걸꺼요? 한 눈만 2주째 그래요. 알러지약을 복용해볼까요? 아님 좀 따뜻한 수건 찜질을 해볼까요 눈꼽도 아침마다 있어요

12살 아이 눈 앞머리? 라고 하나요, 눈머리쪽 피부가 건조해보이고 까실가실한 살이 살짝 일어나 있고, 빨간데, 왜 그런걸꺼요? 한 눈만 2주째 그래요. 알러지약을 복용해볼까요? 아님 좀 따뜻한 수건 찜질을 해볼까요 눈꼽도 아침마다 있어요
매독에 의한 시신경 부종으로 진단이 나왔어요. 계속 지켜보기만 하는 진료만 하고 있어요 스테로이드 쓸수 없나요
시신경 질환은 약물치료가 안되나요
망막 수술을 받은지 한달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눈썹 피부가 너무 간지러워서 피부과에 가서 망막 수술을 했는데 눈썹이 너무 간지럽다고 얘기하여 코디케어 로션 2.5%라는 로션을 처방 받았어요. 그리고 집에 와서 저녁에 눈썹에만 로션을 발랐는데 눈두덩이가 눈을 떴을때 불편한 느낌이 있을정도로 부었습니다. 피부과에서 처방받은 로션을 눈썹에 바랐는데 이게 수술한 눈의 안압을 올릴 수 있는 건가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사위가 작은 각으로 있는 경우 프리즘렌즈를 사용하면 사용하는 동안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좋아질 수 있다는 말과 프리즘 렌즈에 의존해서 사위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뭐가 맞나요?
하드랜즈 착용하는데 건조할 경우 눈에 이물감이 심합니다. 이물감 없애는 안약 추천해 줄 수 있을까요?
눈밑점막에 여드름? 노란고름?이 생긴지 3-4개월 됐는데 아직도 안없어졌어요 빨갛게 다래끼처럼 생겼으면 안과를 갔을텐데 보이는게 그냥 노란고름? 밖에 없어서 고민이네요 어떻게 해야하죠?
죄송합니다. 반말 좀 하겠습니다. 너무 화가 나서요. 암튼 내 주치의는 10월부터 시작된 내 좌안 근시퇴행을 막으려고 로이옵을 줬음(녹내장치료제래) 계속 써도 차도 없었음. 유지인 듯. 그리고 2월에 이직하면서 붕 떠 버림. 오늘 첨 보는 원장이랑 얘기하는데 개띠꺼웠음. 지가 걔보다 경험 많다느니, 조절 검사 그냥 하지 말자느니, 니는 걍 근시퇴행이 운 없게 왔고, 로이롭이나 3년 써라. 이러고 6개월 약을 줌. 40만원. 빡쳐서 동네 안과 갔음. 그대로 전달하니, 그 약을 왜 그렇게 오래 쓰지? 함. 내 주치의 역시도 4월부터 로이롭을 끊기로 했음. 그리고 다시 안압이랑 굴절력 잼. 수술한 원장은 말 안 하던 원시 이야기가 나옴. 처음 들음. 차트 보여 주면서 니는 왼쪽 눈에 힘 빼라, 라고 함. 근시가 없는 수준이래. 보니까 -0.25찍힘. 저는 누구의 말을 들어야 하나요?
어렸을때부터 약간의 외사위가 있었고 성인이 되어서도 약간의 외사위가 있다면 성장기가 끝났기 때문에 더 나빠질 가능성이 적나요?
눈밑지방재배치를 했는데 며칠동안 눈시림이랑 건조증이 심해서 봤더니 눈밑 점막? 이 빨갛게 됐어요ㅠㅠ
3월 초 부터 그 전까지는 안 그랬는데 눈 충혈이 자주 생기고 한 쪽 눈이 가끔씩 가렵고 그 전보다 건조함이 자주 느껴지고 뭐가 원인인지 모르겠어요 안약은 꾸준히 넣고 있는데 별로 효과가 없는거 같아요 제가 현재 쓰고 있는 안약은 BINEX의 하일렌 플러스 점안액이에요
보름 전 라섹 후 각막염으로 각막궤양이 생겨서 항생제 치료중이에요 그래도 각막에 흉터가 남는다는데 PDRN 성분의 리클란이나 리안 같은 점안액이 흉터에 효과가 있을까요?
인공눈물 사용기간 얼마나 잡으면 될까요? 건조해서 인공눈물 처방받았는데 괜찮아져서 안쓰는데 너무 많이 남아서 나중에 또 쓰려하는데 보관을 얼마나 할수있을까요?
오늘 각각 다른 병원에서 인공눈물 히알루론산 % 각각 다른걸 처방 받았습니다. 처방이 되었는데, 혹시 이런경우 나중에 건강보험 적용이 취소된다던지 문제가 될까요?? 그렇다면 어떤식으로 진행이 될까요? 그리고 실비적용도 두개 다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라식 후 3주 정도 지났는데요, 아까 안약을 넣으려다 눈동자를 만져버렸는데 그 뒤로 이물감이 좀 드는데 빨리 진료봐야할까요? 통증이나 시력저하는 아직 없어요
정액이 눈에 들어갔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인공눈물 0.3% 처방받고싶습니다.
저가 결막염이랑 다래끼가 자주 나는 편이라 안과에 가서 받아둔 안약이 많은데요. 빨강 뚜껑인 레보틴, 레보클 이 있고, 파랑 뚜껑인 후메론과 후루손이 있고, 다래끼때문에 눈이 부었는데 어떤 거 2개 넣어야 효과가 제일 좋나요?
왼쪽 망막이 약해져 있어서 예방차원의 레이저를 한지 약 3개월이 지났고 2주 전에 동네 안과에서 망막 사진상 아무 이상없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부터 상단 시야에 광시증이 보이는 느낌이에요. 근데 이 광시증이 수술한 오른쪽 눈에서 계속 보이던 위치이기도 하고 수술 후에도 광시증 증상은 여전히 있었던터라 이 광시증이 왼쪽 눈에서 보이는게 맞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이 광시증이 왼쪽 안구에 문제가 생겨서 보일 확률이 있을까요? 아님 그냥 오른쪽 눈에서 계속 보이는 광시증인데 그냥 왼쪽 눈에서 보였던 거라 착각을 좀 한 걸까요? 혹시 레이저를 한 망막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 증상이 있나요?
머리말리다가 왼쪽눈에 드라이바람이 0.5초도 안되게 지나갔는데 괜찮나요?